정부가 ‘수소경제’를 천명한 것은 수소의 잠재력 때문이다. 수소는 국내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석유, 가스 등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로서는 수소가 대체 자원이 될 수 있고, 에너지 자립도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수소차·연료전지 등 선진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미국·일본·독일 등 국가별 수소경제 경쟁이 치열하지만, 시장 초기단계란 점에서 우리가 선점 우위를 가진 셈이다.
또 부생수소 등 수소 생산이 가능한 산업기반이 갖춰져 있고, 액화천연가스(LNG)망 구축 등 인프라로 원활한 수소 공급이 가능하다.
수소가 원전발전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탈원전’ 논란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 가솔린이나 액화석유가스(LPG)보다 수소가 안전하다는 점도 정부가 수소경제에 주력하는 이유다.
‘2040년 연간 43조원 부가가치와 42만개 일자리 창출’. 정부가 이번 ‘수소경제 로드맵’을 통해 제시한 목표치다.
맥킨지 컨설팅에 따르면, 2050년 수소산업이 연 2조5000억 달러(약 2800조원) 부가가치와 누적 3000만개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이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인 수소를 2040년까지 원전 15기 발전량에 해당하는 15GW급까지 확대, 생산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이산화탄소(CO2) 배출이 전혀 없고, 도심에 소규모 설치가 가능한 ‘친환경 발전용 연료전지’와 연계할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17일 울산을 찾아 "수소경제는 에너지원을 석탄과 석유에서 수소로 바꾸는 산업구조의 혁명적 변화"라고 선언했다. 이어 "전통 주력산업인 자동차·조선·석유화학과 연계해 수소경제를 선도해 갈 수 있다"고 했다.
이런 자신감은 세계 수소시장이 초기 단계라는 현실에서 나온다. 미국·일본·독일 등이 제시한 수소경제 목표치와 비교해도 쉽게 알 수 있다.
캘리포니아주 중심으로 수소 정책을 추진 중인 미국은 2030년까지 주내 수소차 100만대, 수소충전소 1000개소를 보급할 계획이다.
일본은 2030년까지 수소차 80만대, 수소버스 1200대, 수소충전소 900개소, 가정용 연료전지 530만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다.
독일도 재생에너지와 수소경제를 융합한 정책을 추진해 2030년까지 수소차 180만대, 수소충전소 1000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은 2025년까지 수소차 10만대를 생산하고, 가격도 현재의 반값 수준인 3000만원대 수준으로 낮춘다. 이후 2040년까지 수소차 누적 생산량 620만대, 수소버스 4만대, 수소택시 8만대, 수소충전소 1200곳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수소 ‘안전성’ 논란은 기우(杞憂)
정부는 수소가 가솔린이나 LPG보다 안전하다고 강조한다. 산업부는 "수소는 석유화학·정유·반도체·식품 등 산업현장에서 수십년간 사용해온 가스다. 안전관리 노하우가 축적된 분야"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수소 폭발 가능성에 대비한 안전 설계도 갖췄다고 설명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수소 폭발은 저장용기 균열 등으로 발생하는 물리적 폭발과 누출된 가스가 발화하는 화학적 폭발이 있다.
수소차의 수소저장용기는 7300t 에펠탑 무게도 견디도록 설계됐다. 철보다 10배 강한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수심 7000m에서도 안전하고, 파열·화염·총격·낙하 등 17개 안전성 시험을 거친다.
화학적 폭발은 누출된 가스가 모여 구름을 형성하고, 불이 붙어야 발생한다. 그러나 수소는 공기보다 14배 가벼운 기체로, 누출 시 빠르게 확산해 가스구름이 생성되기 어렵고 공기에 쉽게 희석된다.
한국산업안전공단에 따르면 △자연발화온도 △독성 △불꽃온도 △연소속도 등을 평가한 수소의 위험도는 1로 가솔린(1.44), LPG(1.22), 도시가스(1.03)보다 낮다.
수소차의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는 수소폭탄에 사용되는 중수소·삼중수소와도 다르다. 자연 상태에서는 수소가 중수소나 삼중수소로 변하지 않는다. 수소차가 안전한 이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