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50여년간 광화문 광장 지켜온 이순신장군상 사라진다?...서울시 입장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지은 기자
입력 2019-01-22 09: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순신·세종대왕상 '우리 이사가요'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세계에서 가장 큰 중앙분리대'라는 오명을 얻었던 광화문광장이 2021년까지 보행자 중심의 열린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광화문 '터줏대감'인 이순신장군상은 옛 삼군부 터인 정부종합청사 옆으로, 세종대왕상은 세종문화회관 옆으로 이전을 추진한다. 사진은 21일 오후 광화문광장의 모습. 2019.1.21 mon@yna.co.kr/2019-01-21 15:17:06/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몇 십년간 국가의 심장부로 통하는 광화문 네거리에서 국가 수호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해온 이순신장군상이 광화문 광장 재설계에 따라 다른 곳으로 옮겨지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21일 광화문 광장과 그 일대가 대변혁을 예고한 가운데, 이를 위해 서울시가 세종대왕상과 이순신장군상을 세종문화회관 옆과 옛 삼군부 터(정부종합청사 앞)로 각각 이전하는 방안을 언급하자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광화문 광장 재설계 공모에서 심사를 맡은 위원들은 "이순신 동상의 경우 역사성을 지녀 존치하는 것이 좋겠지만 세종대왕상은 그 위치나 크기에 대해 여러 시민들이 문제제기를 해온 만큼 이전 검토를 해볼만하다는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다만 박원순 서울시장은 "동상 이전은 온국민의 관심사"라면서 "설계 당선작이나 심사위원 의견대로 진행될 일이 아니며 연말까지 공론화를 통해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신중히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시는 이날 경복궁 전면에 '역사광장'(약 3만6000㎡)을, 역사광장 남측으로는 '시민광장'(약 2만4000㎡)을 조성하는 등 지상광장을 새롭게 꾸밀 것이라고 밝히면서 시민들이 경복궁과 그 뒤 북악산의 원경을 광장 어디서든 막힘없이 볼 수 있고, 다양한 대형 이벤트가 열릴 수 있도록 지상광장을 비움의 공간으로 조성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를 위해 세종대왕상과 이순신장군상을 세종문화회관 옆과 옛 삼군부 터(정부종합청사 앞)로 각각 이전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이순신장군상은 세종로와 태평로가 뻥 뚫려 있어 남쪽 일본의 기운이 강하게 들어오게 되는데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던 당시 풍수지리학자들의 주장을 배경으로 1968년 세워졌다. 일본이 가장 무서워할 인물은 왜적을 물리쳐 나라를 구한 이순신 장군이라는 판단이었다. 세종대왕상은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민족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린다는 목적으로 2009년 건립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