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강아지 안락사 앞둔 주인들의 표정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9-01-24 12: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노트펫] '심장이 이렇게 뛰고 있는데..'.

반려견이 고통 없이 삶을 마칠 수 있도록 최후의 선택으로 안락사를 택했지만 차마 보내줄 수 없는 보호자들의 모습들이 공개됐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 조교수이자 프리랜스 보도사진가 로스 테일러(47세)가 반려동물 가정 안락사 사진 연작 <마지막 순간들>로 주목을 받고 있다고 미국 피플지(誌)가 지난 22일(현지시간) 전했다.

  견주 키아라 만리케(사진 오른쪽)는 반려견을 안고 “나는 더 하려고 노력했고,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려고 노력했지만, 그들이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더 없다고 했다”고 울었다. 자매 킴벌리(왼쪽)와 수의사 닐 윌킨스가 그녀를 위로했다.

테일러의 가까운 친구가 반려견 안락사를 결정하는 고통스러운 과정을 지켜보면서, 그는 반려동물 가정 안락사(pet in-home euthanasia)를 처음 알게 됐다.

테일러는 “그녀의 고투와 반려견에 대한 사랑을 목격하면서 나는 극심하게 가슴 아팠다”며 “일말의 의심 없이 그녀 인생에서 굉장히 힘든 날들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집사 제니퍼 호크(사진 오른쪽)는 고양이 섀도에게 마지막 키스를 하기 전에 “나는 지금 기분이 좋지 않다”며 엎드려 흐느꼈다. 섀도는 암에 걸려서, 호크가 힘든 결정을 해야만 했다. 호크의 친구 루비 넬름스(왼쪽)는 “나는 그녀가 홀로 이 일을 겪도록 두지 않을 것”이라며 같이 슬퍼했다. 섀도가 세상을 떠나는 순간 호크는 섀도에게 “괜찮아 아가, 괜찮아. 너는 내 천사야”라고 마지막 말을 섀도의 귓속에 속삭였다.

테일러는 반려동물 가정 안락사를 조사하고 사진작업을 구상하면서, 반려동물을 잃은 주인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작업이 되길 바랐다. 동물단체 랩 오브 러브(Lap of Love), 케어링 패스웨이스(Caring Pathways) 등이 테일러의 프로젝트에 공감해 반려동물 주인들을 연결해줬다.

  견주 줄리엣 루비오는 반려견 딩고 옆에 누워서 “나는 오랫동안 너를 사랑해왔어”라고 속삭였다. 수의사가 딩고에게 안락사 주사를 놓기 직전까지 루비오는 계속 “이것이 싫다”고 되풀이했다. 딩고가 눈을 감자, 루비오는 “사랑해, 사랑해, 곧 너는 다시 자유로워질 거야”라며 울었다.

테일러는 “내 우선순위는 가족의 위안”이라며 수의사의 안내를 따라서 “가능하면 소리를 거의 안 내고 조용하게 움직이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그는 “나는 여러 번 사진을 찍지 못했는데, 왜냐하면 그 순간이 너무 섬세했다”며 “나는 결코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들길 원치 않는다”고 털어놨다.

  견주 도니 리브는 반려견 데이지의 가정 안락사 직전에 “시간이 결코 충분치 않았다”며 눈물을 훔쳤다. 안락사가 진행되면서 견주의 감정이 격해져 결국 리브는 진정하기 위해 방을 나가야만 했다.

테일러는 사진을 본 사람들이 “이것(반려동물 가정 안락사)을 겪는 이들에게 더 깊게 측은히 여기는 마음을 갖는 것이 우리가 필요한 모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그의 사진 연작은 많은 공감을 받았다고 피플지는 전했다.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Vanessa Gangadyal consoles her son, Ian, 8 while her husband Michael Gangadyal pets their dog, Ally, shortly it’s passing. At right is Erica Unz, a veterinarian with a deep compassion, who comforts the family in the difficult moment. • “Last Moments,” is a photo essay that explores the intimacy of the human-animal bond - specifically, the last moments before, and after, the passing of a pet at home with their owner. It is a somber, and intense, testimony to the bond and the pain that comes when it is broken. • This series looks at the intense connection shared between people and their pets. The decision to have at-home pet euthanasia is part of an emerging trend (to have end of life care in the home, instead of in a clinic). Nationally, scores of pet owners go through this painful experience each year. It’s important to note the immense care and compassion that the veterinarian community demonstrates towards the families going through this. • It's also important for people going through this to know they're not alone in their grief, and importantly, that their grief is not to be taken lightly. #love #pets #lastmoments •

Ross Taylor(@rosstaylorphoto)님의 공유 게시물님,


관련기사 더보기
밥상 위에서 '공중부양'하며 시위한 고양이의 사연.avi
'경영권 방어' 선언한 박소연 케어 대표..'내가 여기까지 어떻게 왔는데..'
"밥 다 먹었..꺼억" 완밥 후 트림하는 강아지


김국헌 기자 papercut@inbnet.co.kr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otepet@inbnet.co.kr / 저작권자 ⓒ노트펫,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