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28/20190128092857488171.jpg)
건설기술인회관 전경.[사진=홈페이지]
전국 약 80만명 회원을 둔 국내 최대의 건설 직능단체인 한국건설기술인협회가 차기 회장 선거를 둘러싸고 '깜깜이 편파선거' 논란이 일고 있다. 올해 첫 직선제를 도입하며 개별적 선거운동 금지, 후보자 홍보자료 2주 미공개, 선관위원 불공정 위촉 등 전반적 과정에서 투명성과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28일 한국건설기술인협회는 제13대 회장 선출과 관련해 내달 7일 후보자를 확정 공고하고, 다음날부터 3월 3일까지 선거운동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선거는 3월 4∼7일 나흘간 50만여 명의 정회원을 대상으로 모바일 전자투표로 치러지며 8일 당선자가 발표된다. 최다 득표자가 당선되는 방식이다.
잡음의 진원으로는 직선제 운영방식이 지목된다. 협회는 2018년 9월 선거관리 규정 전문을 개정하며 제37조 5~6항에 '각종 개별적 선거운동' 등을 위반행위로 포함시켰다. 또 시행규칙 제26조는 2~3항 '문자메시지, 전자우편, SNS 등', 5항 '선거권자 대상 공개장소에서 개인연설 혹은 대담' 등을 금지시켰다.
그러자 일부 후보자를 중심으로 현행 제도 하에서는 집행부가 아니라면 자신을 알리기 어렵다는 비판이 거세게 제기됐다. 특히 선거관리 업무는 전적으로 선관위원회에서 관장하는데 이 역시 현 회장이 위촉한 이들로만 구성토록 해 추가적인 신뢰성 하락 요인이라고 꼽힌다.
회원 A씨는 "전국에 그리고 직능·분야별로 회원이 80만명, 이 가운데 유권자가 50만명인데 누가 누군지도 잘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 자발적 선거운동을 차단하면 각종 행사 등 그나마 대외적으로 알려진 현직 임원에게 유리할 게 뻔하다"고 말했다.
다른 회원 B씨는 "협회가 공명선거란 명목으로 오히려 후보자들의 올바른 경쟁을 가로막고 있다"면서 "당장 등록한 인물들의 면면을 알지 못할 뿐더러 투표 자체에도 관심이 적은 게 사실"이라고 꼬집었다.
일각에서는 모바일 전자투표 시스템에 비리 의혹의 개연성이 매우 높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협회에서 공신력을 갖춘 중앙선관위가 아닌 민간의 특정업체에 모두 위탁한 탓이다. 이에 협회의 감독관청인 국토교통부가 나서서 감시를 해달라고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임 회장단도 '깜깜이 선거' 중단에 힘을 보태고 나섰다. 윤석길(5대)·황상모(6대)·이정민(7대)·허복(8~9대) 전임 회장 4명은 공동명의 성명서를 내고 "현 회장을 포함한 집행부는 선거에 엄정중립의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특정후보를 지원·당선시키려는 어떤 시도라도 있어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자투표 중앙선관위에 위탁 △후보자 제출 홍보자료 신속히 유권자에 공개 △후보자 개별 선거운동 금지는 유권자에 제공돼야 할 정보의 차단, 현직 임원 후보자에 유리한 여건 형성 △국토부의 관리·감독 최선 촉구 등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협회 측은 "그동안 200여 명의 대의원이 회장을 뽑았다. 이때 후보자간 대의원 확보 경쟁과 일부 후보자의 중상모략 등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라며 "선거제도 개편 등은 회원 대상으로 조사를 거친 만큼 질서있게 치러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난 23일까지 차기 회장 후보자 등록을 마친 결과 고갑수 SQ엔지니어링 회장, 김기동 전 두산건설 부회장, 김연태 모두그룹 대표, 김일중 전 건설교통부(현 국토부) 차관보, 이태식 국제우주탐사연구원 원장 등 5명이 신청했다.
28일 한국건설기술인협회는 제13대 회장 선출과 관련해 내달 7일 후보자를 확정 공고하고, 다음날부터 3월 3일까지 선거운동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선거는 3월 4∼7일 나흘간 50만여 명의 정회원을 대상으로 모바일 전자투표로 치러지며 8일 당선자가 발표된다. 최다 득표자가 당선되는 방식이다.
잡음의 진원으로는 직선제 운영방식이 지목된다. 협회는 2018년 9월 선거관리 규정 전문을 개정하며 제37조 5~6항에 '각종 개별적 선거운동' 등을 위반행위로 포함시켰다. 또 시행규칙 제26조는 2~3항 '문자메시지, 전자우편, SNS 등', 5항 '선거권자 대상 공개장소에서 개인연설 혹은 대담' 등을 금지시켰다.
그러자 일부 후보자를 중심으로 현행 제도 하에서는 집행부가 아니라면 자신을 알리기 어렵다는 비판이 거세게 제기됐다. 특히 선거관리 업무는 전적으로 선관위원회에서 관장하는데 이 역시 현 회장이 위촉한 이들로만 구성토록 해 추가적인 신뢰성 하락 요인이라고 꼽힌다.
회원 A씨는 "전국에 그리고 직능·분야별로 회원이 80만명, 이 가운데 유권자가 50만명인데 누가 누군지도 잘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 자발적 선거운동을 차단하면 각종 행사 등 그나마 대외적으로 알려진 현직 임원에게 유리할 게 뻔하다"고 말했다.
다른 회원 B씨는 "협회가 공명선거란 명목으로 오히려 후보자들의 올바른 경쟁을 가로막고 있다"면서 "당장 등록한 인물들의 면면을 알지 못할 뿐더러 투표 자체에도 관심이 적은 게 사실"이라고 꼬집었다.
일각에서는 모바일 전자투표 시스템에 비리 의혹의 개연성이 매우 높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협회에서 공신력을 갖춘 중앙선관위가 아닌 민간의 특정업체에 모두 위탁한 탓이다. 이에 협회의 감독관청인 국토교통부가 나서서 감시를 해달라고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임 회장단도 '깜깜이 선거' 중단에 힘을 보태고 나섰다. 윤석길(5대)·황상모(6대)·이정민(7대)·허복(8~9대) 전임 회장 4명은 공동명의 성명서를 내고 "현 회장을 포함한 집행부는 선거에 엄정중립의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특정후보를 지원·당선시키려는 어떤 시도라도 있어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자투표 중앙선관위에 위탁 △후보자 제출 홍보자료 신속히 유권자에 공개 △후보자 개별 선거운동 금지는 유권자에 제공돼야 할 정보의 차단, 현직 임원 후보자에 유리한 여건 형성 △국토부의 관리·감독 최선 촉구 등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협회 측은 "그동안 200여 명의 대의원이 회장을 뽑았다. 이때 후보자간 대의원 확보 경쟁과 일부 후보자의 중상모략 등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라며 "선거제도 개편 등은 회원 대상으로 조사를 거친 만큼 질서있게 치러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난 23일까지 차기 회장 후보자 등록을 마친 결과 고갑수 SQ엔지니어링 회장, 김기동 전 두산건설 부회장, 김연태 모두그룹 대표, 김일중 전 건설교통부(현 국토부) 차관보, 이태식 국제우주탐사연구원 원장 등 5명이 신청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28/20190128110510401430.jp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