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연간 수돗물 6억8000만t 새고 있다...손실액만 6100억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원승일 기자
입력 2019-01-30 08: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국 상수도 보급률 99.1%

  • 노후관 개선 필요

지난 2017년 상수도관이 낡아 새는 수돗물 양이 약 6억8200만t으로 파악됐다. 이는 연간 수돗물 총생산량의 10.5% 규모로 손실액만 6130억원으로 추산된다.

지역별 수돗물 요금 격차도 여전했다. 전국 수돗물 평균 요금은 1㎥당 723원. 강원도는 957원으로 가장 비쌌고, 대전시는 555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전국 상수도 보급률은 99.1%, 도시와 농어촌의 상수도 보급 격차도 많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환경부가 발표한 2017년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수돗물을 공급받는 인구는 5246만명으로 총인구(5295만명) 대비 상수도 보급률은 99.1%로 집계됐다. 총인구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와 출입국 사무소에 등록된 외국인 인구를 합한 수치다.

상수도 보급률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8년 96.8%에서 2017년 99.1%로 매년 꾸준히 높아졌다. 농어촌 지역 보급률은 94.3%로 나타났다. 2008년 79.7%에서 9년 만에 14.6%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취약급수 지역의 물 복지를 향상하고자 그동안 농어촌 지역에 집중적으로 상수도를 보급한 결과라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상수도 보급률 추이[자료=환경부]


전국에 설치된 상수도관 중 32.4%인 6만7676㎞는 1997년 이전에 설치된 노후 상수도관인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누수 손실을 줄이기 위해 관망 개선 작업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가정용과 영업용을 포함한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289ℓ로 증가 추세가 이어졌다.

가정용수의 1인당 사용량은 184.5ℓ로 프랑스(187ℓ), 일본(218ℓ)보다는 적지만 영국(149ℓ), 독일(114ℓ), 덴마크(104ℓ)보다는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