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30/20190130083421780990.jpg)
이병훈 광주광역시 부시장이 29일 예타면제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사진=광주광역시 제공]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인공지능(AI) 기반 과학기술창업단지 조성사업’이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확정됐다.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인간의 인지능력, 학습능력, 추론능력, 이해능력 같이 인간의 고차원적인 정보처리 능력을 구현하기 위한 ICT기술이다.
특히 다른 지자체가 예산규모가 큰 철도, 도로, 항만 등 SOC건설에 집중했지만 광주시는 발상을 바꿔 예산규모는 적지만 유일하게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AI기반 지역산업구조 혁신사업을 제시해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은 정부의 3대 혁신성장 전략투자 분야다.
명실공히 국내 최대의 AI 집적단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다.
30일 광주시에 따르면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사업은 10년간 1조원을 투자해 국가적으로는 AI산업육성 기반을 마련하고 광주는 열악한 산업구조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사업이다.
광주시는 이번에 확정된 5년 사업을 1단계로 조성하고 앞으로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1단계는 2020부터 2024년까지 4061억원을 투입해 기업동, 실증동, 데이터센터 등 기반시설, 창업보육 프로그램, 산업융합 R&D 등 인공지능 개발·육성에 필요한 자원과 인프라를 집적해 지역 전략산업에 인공지능을 접목한다.
2단계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939억원을 투입, 이미 조성된 연구기반과 산업연계를 확장해 사회 서비스 분야로 확대해 인공지능 선도도시를 조성한다.
주요 사업내용은 광주 첨단3지구에 있는 연구소와 대학,혁신센터, 기업이 참여해 R&D,창업기반, 실증 테스트베드를 제공하는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 산업융합 R&D와 AI 창업 보육 지원 기능 집적화를 통해 글로벌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인공지능 산업융합 생태계를 조성한다.
이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2029년에는 인공지능 창업 1000개, 고용효과 2만7500명, 인공지능 전문인력 5150명을 확보하게 된다.
또 자본·노동중심의 기존산업 분야에서 AI 혁신기술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바꾸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특히 지역 전략산업인 자동차, 에너지, 헬스 케어, 광산업 등에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접목해 산업을 지능화하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융복합 신산업 발굴 육성을 통해 광주형 일자리를 실현하게 될 것이다.
그동안 광주시는 인공지능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17년 문재인 대통령 지역 공약사항으로 반영하고 예타 사전기획비로 10억 원을 확보했으며, 2018년 과학기술정통부와 함께 예타 사전기획을 완료한데 이어 지난해 연말 광주시 예타 면제 대상사업으로 제출했다.
광주시는 주관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를 통해 과기부와 광주시 공동으로 인공지능 사업 추진체계(가칭 인공지능사업추진단)를 구성·운영하고, 예타 면제 사업에 대한 적정성 심사에 대응할 계획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주가 인공지능 선도도시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앞으로 지역 전략산업인 자동차·에너지·광산업 등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융복합 신산업 육성이 가능하게 후속 조치와 함께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