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30/20190130095055505602.jpg)
[사진=삼성바이오에피스 제공]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제품 3종 총 매출액이 6000억원을 돌파했다고 30일 밝혔다.
29일(현지시간) 삼성바이오에피스 유럽지역 마케팅 파트너사 바이오젠(Biogen)이 발표한 지난해 실적에 따르면, 자가면역질환 바이오시밀러 ‘베네팔리’, ‘플릭사비’, ‘임랄디’ 등 3개 제품이 총 5억4510만달러(6002억원) 매출을 거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성과다.
제품별로는 베네팔리와 플릭사비가 각각 4억8520만달러, 4320만달러로 31%, 380% 증가했다. 임랄디는 지난해 10월 출시 후 이번에 처음으로 실적이 공개됐으며, 70여일만에 1670만달러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베네팔리는 2016년 2월 출시 후 누적 매출이 총 9억5660만달러(1조533억원)로, 1조원대를 돌파했다. 의약품 시장 정보업체 IQVIA에 따르면, 유통 물량 기준으로 유럽 전체 에타너셉트(베네팔리 주성분) 시장 점유율을 41%까지 끌어올렸다.
독일 시장에서는 오리지널 제품 엔브렐을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독일은 유럽 중에서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 규모가 가장 크다. 독일에서 바이오시밀러가 점유율로 오리지널 의약품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베네팔리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유럽 시장에 출시한 첫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라는 점에서 이같은 성과는 더욱 의미가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임랄디에도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 임랄디는 글로벌 매출 20조원인 1위 의약품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다.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의약품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임랄디 성장 가치는 크다. 다만 같은 이유로 많은 업체가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해 경쟁구도에 있는 상태다.
이에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파트너사를 통한 제품 공급력과 기존 제품 판매 노하우를 바탕으로 출시 직후 유럽 10개국 이상에서 출시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독일에서는 출시 첫 달 만에 동일 성분 시장 점유율 62%를 달성하기도 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약 5조원 규모에 달하는 유럽 내 동일성분 시장에 진출한 바이오시밀러 중에서 초반 승기를 잡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인 제프리 카펠로(Jeffrey Capello) 바이오젠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임랄디 출시 첫 분기 시장 침투율 성과가 베네팔리를 능가한다”며 “올해에는 임랄디를 필두로 바이오시밀러 매출 두 자리 수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상진 삼성바이오에피스 커머셜(Commercial) 본부장 전무는 “베네팔리 성공사례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임랄디 등 후속 제품 판매를 확대해 유럽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