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30/20190130110349573844.png)
[사진=질병관리본부]
질본은 그동안 희귀질환 국가관리대상 목록 지정을 계기로 조기 진단·치료와 희귀질환자‧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대책을 수립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희귀질환 전문가가 부족하고, 의료기관이 서울 지역에 집중돼 진단받기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표준화 된 희귀질환 관리방안‧지원 확대와 지역거점 병원 확충 등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따라 질본은 오는 2월부터 희귀질환 거점센터 역할과 기능을 확대‧강화해 중앙지원센터를 신규로 지정‧운영하고, 권역별 거점센터를 기존 4개소에서 10개소로 확대한다.
권역별 거점센터는 지역 전문진료실(클리닉) 운영, 전문의료인력 교육, 진료협력체계를 구축해 희귀질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질본은 이를 통해 진단기간을 단축하고 의료기관 수도권 쏠림 현상을 해소해 지방에 거주하는 희귀질환자가 지역 내에서 지속적인 질환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30/20190130110408925288.jpg)
2019~2020 권역별 희귀질환 거점센터 지정 현황 [사진=질병관리본부 제공]
중앙지원센터는 권역별 거점센터의 임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인력 교육, 희귀질환 진단과 진료 표준 지침 연구, 연구 역량 강화 등이다.
연구정책 수립과 효율적 환자 관리, 지원‧의료 자원 낭비를 막기 위한 합리적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역할도 한다.
또 희귀질환 권역 내 거점센터 간 연계망(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효율적으로 환자를 치료·관리 한다.
희귀질환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해 전문 인력 역량을 강화하고, 희귀질환에 대한 정보와 지식도 공유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희귀질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증상도 심각한 경우가 많지만, 그간 지역 의료기관 규모나 역량 부족으로 진단‧치료‧관리에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거점센터 지정 확대로 희귀질환 진료 역량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