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30/20190130144629374156.png)
[사진=금융감독원 제공]
지난해 주식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공개(IPO)가 중소형주 위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반면 회사채는 금리인상에 대응해 발행이 지속되면서 큰 폭으로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발행된 주식과 회사채 규모가 전년보다 10.0% 증가한 169조814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주식 발행액은 8조8959억원으로, 1년 전보다 14.1% 감소했다. 지난해 IPO 건수는 95건으로 18건 증가했지만, IPO를 통한 주식 발행 규모는 60.7% 줄어든 2조3149억원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IPO가 중소형주 위주로 이뤄지고, 대형 IPO가 위축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2017년에는 넷마블게임즈(2조6617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1조88억원) 등 대형 IPO가 이뤄졌지만, 지난해는 1조원이 넘는 IPO가 없었다.
반면 유상증자는 삼성중공업(1조4000억원)과 현대중공업(1조2000억원) 등 일부 대기업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대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발행 규모가 증가했다. 이 기간 유상증자는 75건 이뤄졌고, 규모는 6조5810억원으로 47.3% 늘었다.
회사채는 지난해 160조9183억원이 발행돼, 전년보다 11.7% 늘었다. 회사채 발행이 증가한 데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국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자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자금조달에 나섰기 때문이다.
회사채 종류별로 보면 금융채가 109조1299억원으로 전년보다 12.8% 늘었고, 일반회사채(35조6590억원)와 자산유동화증권(ABS)(16조1294억원)도 각각 10.5%, 7.5% 증가했다.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 발행액은 1471조2155억원으로, 전년보다 6.9%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