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30/20190130154159187968.jpg)
조경태 의원이 한국당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다.[사진=조경태 국회의원실 제공]
자유한국당 조경태 의원이 오는 2월 27일 열리는 한국당 전당대회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다.
30일 조 의원은 "자유한국당의 혁신 작업으로 완전히 새롭게 변화시켜, 특급 구원투수로서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대안 정당으로 내년 총선은 물론, 각종 선거에서 이기는 정당으로 만들겠다"며 출마를 선언했다.
조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고심 끝에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하고자 한다"고 밝힌 뒤, "한국당은 웰빙, 구태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벗고, 젊은 세대와 소통을 통해 남녀노소 모든 국민에게 사랑받는 정당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출마 선언문에서 "스물여덟 살의 나이에 지역주의 타파와 서민이 잘사는 세상을 만들고자 정치에 뛰어든 후, 20여 년간 정치를 하면서 수많은 일들을 겪었지만 2017년 현직 대통령 탄핵은 엄청난 충격이었다. 이후 이어진 보수의 분열과 위기는 대선과 지방선거 결과에서 그대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유한국당은 '변해야 한다,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고 말로는 외치고 있지만, 정작 국민들이 원하는 혁신적인 모습은 보여 주질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연이은 선거 참패로 당의 위기감은 극에 달했지만, 뼈를 깎는 반성과 노력으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려 하기 보다는 한줌밖에 안되는 기득권을 지키는 것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집권 3년차에 접어든 집권 여당의 지지율은 30%대로 떨어졌지만, 우리 자유한국당의 지지율은 여전히 20%대를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 총선을 겨냥하며, 한국당의 지지율을 최소한 45%까지 끌어올려야 되며,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당이 변해야 하며, 완전히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의원은 "무기력한 야당의 모습이 아니라 국민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정권을 재창출 할 수 있는 대안정당이 되어야 하며, 한국당의 무기력한 모습에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질 20, 30대 젊은 세대가 외면하고 있다. 미래세대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면 우리 자유한국당의 미래도 매우 어둡다"고 안타까운 심경을 토로했다.
이에 조 의원은 민심을 되돌릴 수 있는 방안으로 "기존의 웰빙 정당, 구태 정당, 낡은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야 한다. 젊은 세대와 끊임없이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며 변화를 강조했다.
또한 조경태의원은 "더 이상 선거에 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저 조경태, 선거에 강한 사나이다. 헌정사상 처음으로 부산에서 민주당으로 세 번 내리 당선되었고, 호남이 주류인 민주당 최고위원 선거에서 영남출신의 비주류 후보였음에도 대의원투표 1위로 최고위원에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으로 당적을 옮긴 직후에 치룬 총선에서도 부산지역 최다득표로 당선되었다. 내년 총선에서 우리 당이 또다시 무너진다면 자유한국당의 부활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보수 대통합의 약속 또한 더욱 멀어 질 수밖에 없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최고위원은 당을 선거에서 이길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그 방법을 잘 아는 사람이 해야 한다. 선거의 경험과 열정으로 내년 총선을 반드시 승리로 이끌어 내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또 그는 "한국당내 어떤 후보보다도 민주당을 잘 알고 있는 사람 중 한 사람이다"며, "지금의 정부 여당은 생각보다 강하지 않다. 그들은 막강한 정치력이나 훌륭한 정책을 인정받아 정권을 창출한 것이 아니다. 안타깝지만 자유한국당의 실책으로 인한 반사이익에 불과한 것이다. 이미 정부여당의 무능력함이 국정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그들이 자랑하던 도덕성도 거짓이었다는 것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또 지금의 경제파탄과 안보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탄탄한 정책 대안을 마련해 국민들에게 우리 자유한국당은 아마추어 정권과 다르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드려야 한다. 수권 정당의 면모를 증명해 보이겠다. 대한민국 어디를 가더라도 자유한국당 당원임을 자랑스러워 할 수 있는 그런 정당으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