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30/20190130181506829916.jpg)
서울의 한 건설공사 현장. [사진=아주경제DB]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도 불구하고 건설사 직원 10명 중 6명은 여전히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전국건설기업노동조합이 발표한 '건설업계 52시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합원 610명 가운데 63%(386명)가 '주 52시간이 지켜지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설문은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내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건설사 10곳의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주 52시간을 초과한 이들의 추가 근무시간은 주당 8.5시간으로 조사됐다. 일주일에 60시간 30분을 일한 것이다. 특히 돌관공사나 준공이 임박한 현장에서는 주당 35시간 초과한 87시간 이상 일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상시적 연장근로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렇듯 주 52시간 근무가 지켜지지 않는 이유로는 응답자의 24.6%가 '인원 부족'을 꼽았다. 이어 △과다한 서류작업(19%) △발주처 업무(12.7%) △협력업체 야간작업(11.1%) △과다 업무(11.1%) △상급자 눈치(6.3%) 등의 순이었다.
홍순관 건설기업노조위원장은 "공사기간이나 금액은 바뀌지 않은 상황에서 근로시간만 주 52시간으로 단축되면 그에 맞게 인원이 더 투입돼야 한다"며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인건비 등을 이유로 이를 꺼려 주 52시간이 지켜지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 52시간 근무 정착을 위해선 '인원 충원'(49.1%) 가장 시급하다는 반응이다. 이밖에 △의식 개선(17.5%) △제도 개선(7%) △공기 산정(6.1%) 등도 대안으로 제시됐다.
홍 위원장은 "건설 현장마다 약 10~15% 인원이 충원돼야 초과 근무 없이 주 52시간이 지켜질 수 있을 것"이라며 "공기가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간접비용을 국고에서 지출하겠다는 정부와의 약속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건설기업노조는 정부에 주 52시간 근로 기준에 맞게 건설 공기 및 금액 산정 기준을 바꿔달라고 촉구할 방침이다. 더불어 건설사들도 신규 인력 채용을 늘리고 인건비 예산 구조를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