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2차 북미정상회담 두고 온도 차 '극명'

[사진=연합뉴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가시권으로 들어온 데에 여야가 극명한 온도 차를 보였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6일 "이번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구체적 방안이 적극적으로 논의될 것을 기대하며 크게 환영하는바"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이재정 대변인은 오늘(6일) 논평을 통해 "이번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구체적 방안이 적극적으로 논의될 것을 기대하며 크게 환영한다"고 밝혔다.

윤호중 민주당 사무총장도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오늘 아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7~28일 이틀간 베트남에서 북미회담을 할 계획이라고 한 말이 전해지면서 북미회담을 통한 한반도 평화정착, 북한 핵 문제의 완전한 해결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높였다”고 평가했다.

특히 “국민들은 빨리 북·미 간에 핵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뤄져 로드맵이 만들어지면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사업이 재개돼 금강산도 가고 개성공단에 투자했던 기업들에게도 햇살이 비추기를 바라는 마음들이 있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바른미래당과 정의당, 민주평화당 등 야 3당도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미국과 북한 간의 두 번째 정상회담을 환영한다"면서 "북한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핵을 폐기하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복귀하는 한편 국제사회도 북한의 이행조치에 따라 대북제재를 해제하고 경제협력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주현 민주평화당은 수석대변인 논평을 통해 "제2차 북·미정상회담으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회담 성공을 진심으로 바란다"고,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은 "이제 두 번째 만남이 이뤄진 만큼 행동으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성과로 한반도 평화의 새 이정표가 새겨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반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섣부른 대북 제재 해제를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영석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핵탄두의 완전한 폐기와 향후 핵 개발 재개 불능 조치를 함께 협의해 나가야 한다"면서 "비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는 대북 국제 제재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수석대변인은 "비핵화 전에 북한에 대한 국제제재가 해제되면 북한 핵 문제는 영원히 해결되지 않으면서 한반도는 위기상황에 놓이게 될 것"이라면서 "종전선언도 평화조약으로 이어져 미군철수 요구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이 없이 종선 선언 합의를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