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찮은 자영업 후폭풍] "커피 팔고 年 900만원…차라리 알바하는게 낫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경태 기자
입력 2019-02-18 04: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본지 2016~2017 프랜차이즈 현황 분석

  • 2017년 점포당 평균영업익 1740만원…16개분야 중 10개가 전년보다 더 저조

  • 1만6070개 매장 늘고 최저임금 올라…비용 충격 완화시킬 정책 수정 필요

커피전문점에서 한 직원이 커피를 제조하고 있다.[연합뉴스]


커피전문점을 창업한 지 3년차가 된 황모씨(45)는 매장을 계속 운영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지방의 한 대학가에서 14평(46㎡) 남짓 공간을 개조해 문을 열면서 들어간 권리비만 1억원에 달한다. 더구나 내부 장비 비용만 해도 3000만원. 인테리어와 임대료를 제외한 비용이다. 

3년부터는 노후화 조짐을 보이는 장비 탓에 감가상각이 떨어지기 전에 매장을 넘겨야 한다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문제는 영업이익이다. 1000만원도 되지 않는 연간 영업이익을 알게 된다면, 매장을 받아줄 수요자가 나타나지도 않을 것이라는 게 그의 푸념이다. 퇴직 후 직장인들이 원하는 커피전문점의 현주소인 셈이다.

프랜차이즈 매장 영업이익이 추락하면서 자영업자 근심이 날로 쌓이고 있다. 생존 문제로도 여겨지는 만큼 자영업에 대한 정부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연이은 최저임금 인상 여파도 무시 못한다. 자영업자들은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간담회를 통해 최저임금 동결 등을 요청하기까지 했다. 문 정부 들어 자영업 대책이 5차례나 연이어 발표됐지만,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겉돌고 있다는 지적만 들린다.

17일 본지가 국가통계포털(KOSIS)을 통해  2016~2017년 프랜차이즈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7년 점포 1곳당 평균 영업이익은 1740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16개 업종 가운데 점포 1곳당 평균 영업이익이 2000만원 미만인 분야는 무려 11개에 달할 정도다. 

영업이익순으로 보면 △의약품 9553만원 △자동차수리 4336만원 △안경 3721만원 △문구점 2642만원 △두발미용이 2332만원 등으로 2000만원을 넘긴 업종이다. 2000만원 미만 업종은 △일식·서양식 1960만원 △한식 1948만원 △제빵·제과 1794만원 △기타 프랜차이즈 1691만원 △피자·햄버거 1515만원 △편의점 1469만원 △분식·김밥 1060만원 △주점 1029만원 △치킨 1024만원 △커피전문점 911만원 △가정용 세탁 757만원 순이다.

그뿐만 아니라 2017년 들어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분야는 16개 중 10개다.

가정용 세탁 분야 점포 1곳 영업이익차는 무려 51.8%나 하락했다. 이어 △주점(-37.8%) △치킨(-33.5%) △커피전문점(-31.0%) △분식・김밥(-29.8%) △기타 프랜차이즈(-20.0%) △의약품(-15.5%) △일식·서양식(-9.2%) △피자・햄버거(-5.5%) △편의점(-3.8%) 등이다.

그나마 △제빵・제과 △안경 △문구점 △두발미용 △한식 △자동차수리 분야가 성장세를 나타냈다. 다만, 자동차수리(6.9%) 이외엔 0~3% 수준의 영업이익 성장세에 그친 정도다.

프랜차이즈 매장이 2016년 19만445개에서 2017년 20만6515개로 1년 새 1만6070개가 늘어나 갈수록 자영업 내 경쟁이 치열해진 요인도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자영업자 비중은 25.4%로 미국(6.3%)·영국(15.4%)·일본(10.4%) 및 OECD 37개국 평균(17.0%)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

한편 업계는 불안한 자영업 구조 원인으로 최저임금 인상을 지목한다. 최근 자영업 간담회에서도 자영업자들은 최저임금 동결을 요구하기도 했다. 문 정부 들어 종합대책 등을 포함해 5차례가량 자영업대책이 제시됐지만, 최저임금 인상 부담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하다는 얘기로 풀이된다.

정부 역시 난감하긴 마찬가지다. 최저임금위원회를 구간설정위원회와 결정위원회로 이원화하는 방안이 포함된 최저임금 결정체계가 이르면 이번 주 확정된다. 그럼에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문 대통령 대선공약을 저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된 부분은 정부가 대책을 내놓을 수 있는 범위 밖"이라며 "그렇다 보니 기존 대책을 강화하거나 수요자 편의 개선 등의 수준으로 대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핵심적인 부분인 최저임금 수정이 안 되고 있는데, 이 부분이 수정돼야 해결점을 찾을 수 있다"며 "비용 충격을 완화하는 등 정책 궤도 수정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