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의 싱크탱크인 바른미래연구원의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 중 절반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1차보다 더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25일 바른미래연구원은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를 알렸다. 이번 조사는 바른미래연구원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했다. 조사는 올해 2월 21일에 진행되었으며,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32명이 응답했다. 응답률은 4.1%로 무선(80%), 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방법으로 실시했다.
우선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에서는 국민들의 49.3%가 1차 북미정상회담보다 ‘더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반면에 응답자의 29.3%는 ‘거의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답변했고, 17.1%는 ‘더 성과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 비핵화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제한적이지만 비핵화가 진행(43.7%)이 가장 높았으며 진전없이 답보상태가 지속(35.5%), 전면적인 비핵화가 시작(14.6%)될 것이 뒤를 이었다.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국민들의 상당수는 1차 북미정상회담보다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 비핵화가 획기적으로 진전되기보다는 제한적이거나 답보상태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 비핵화와 대북제재에 대해서는 비핵화 선행 후 제재완화가 43.7%로 가장 높았고, 비핵화와 제재완화 동시 진행이 40.3%, 비핵화와 관계없이 제재 완화(9.4%) 순으로 나타났다.
북한 비핵화를 위해서는 ‘제재유지’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비핵화와 제재완화를 ‘동시이행’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은 팽팽하게 맞섰다. 다만 비핵화와 관계없이 제재완화를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은 매우 적었다.
영변 핵시설 폐기시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에 대해서는 찬성이 43.6%로 많았고 매우반대는 22.1%로 그 절반에 그쳤다. 전체적으로 찬성(64.1%)이 반대(32.1%)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영변핵시설 폐기와 같이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를 취한다면, 금강산관광이나 개성공단 재개 등의 대북제재 완화 조치를 전향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남북경제협력 떠맡을 각오”가 있다는 발언에 대해서는 매우 부적절(32.1%)이 가장 높았고, 매우 적절(31.3%) 약간 적절(19.5%) 약간 부적절(12.2%) 순으로 응답했다. 또 김정은 위원장 답방에 대해서도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도발 등 과거사에 대한 사과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50.3%, 평화정착 및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과거사에 연연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42.8%로 나타나 찬반여론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