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인정전·창경궁 명정전 내부 개방

[문화재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조선 궁궐의 정전인 ‘창덕궁 인정전’과 ‘창경궁 명정전’을 봄과 가을로 나눠 내부관람을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궁궐의 정전에는 임금의 자리인 어좌가 마련돼 있고 뒤로는 임금이 다스리는 삼라만상을 상징하는 해와 달 그리고 다섯 개의 봉우리가 그려진 ‘일월오봉병’ 등 공예류와 회화류 유물이 함께 소장돼 있다. 지금까지는 문화재 훼손 우려와 안전관리 등의 이유로 개방하지 않았으나, 정전 내부 정비와 안전요원 배치 등을 통해 관람을 허용하기로 했다.

창덕궁 인정전 내부관람은 지난해 특별관람에 이어 봄에는 3월 6일부터 3월 30일, 가을에는 11월 6일부터 30일까지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 1일 4회 전문 해설사의 인솔로 운영한다. 이 중 1회차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창덕궁 전각 영어해설과 연계해 진행한다.

참가희망자는 당일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접수 신청하면 된다. 1회당 입장인원은 30명으로 한정하고, 비가 올 경우 문화재 보호를 위해 내부관람을 취소한다. 내부관람은 무료(창덕궁 입장료 별도)로 자세한 사항은 창덕궁누리집을 방문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국보 제225호)은 ‘어진정치’라는 뜻으로, 화려하면서도 웅장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왕이 혼례를 치르거나 외국의 사신을 맞이하거나 신하들에게 하례를 받는 등 국가의 중요한 행사와 의례가 행해졌던 공간으로 외관은 2층으로 보이나 내부는 화려하고 높은 천장이 있는 1층 건물이다.

창경궁 명정전 내부관람은 처음 실시하는 것으로, 봄에는 4월 2일부터 5월 31일, 가을에는10월 2일부터 11월 29일 매주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1일 총 13회 창경궁 해설시간과 연계해 창경궁 전문 해설사의 인솔로 진행한다.

참가희망자는 당일 현장에서 바로 참여가 가능하다. 30인 이상 60인 이하 단체는 최소 3일전 전화 예약이 필요하다. 내부관람은 무료(창경궁 입장료 별도)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창경궁누리집을 방문하거나 창경궁관리소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창경궁의 정전인 명정전(국보 제226호)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궁궐의 정전으로 성종 15년(1484년)에 건립됐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광해군 8년(1616년)에 재건한 전각으로 단층의 아담한 규모로 조선전기 궁궐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경복궁 근정전 내부관람을 8월 계획하고 있는 등 평소 접근이 제한됐던 궁궐 전각 내부를 개방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