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용 연료전지, 수소경제 선도국가 도약 위한 핵심축"

  • 산업부, '발전용 연료전지 업계' 간담회 개최

  • 건강한 수소산업 생태계 육성 및 연료전지 업계 발전방향 논의

[사진 = 아주경제DB]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서울 한국생산성본부에서 발전용 연료전지의 발전 방향 및 육성 전략 마련을 위한 '발전용 연료전지 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연료전지 보급 진행 상황과 보급 목표 달성 가능성 및 업계 동향·애로사항 등을 중점적으로 청취하고, 주요 부품 국산화 및 협력 중소기업 육성 전략과 공장 건설 등 투자계획 및 해외 수출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산업부는 향후 발전용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개발(R&D) 추진 방향을 설명하고, 연료전지 초기시장 육성 및 기술개발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하여 업계의 의견을 수렴했다.

참석자들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담긴 발전용 연료전지의 발전방향 및 취지에 적극 공감했다.

발전용 연료전지 업계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수준과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며, 아직 초기인 연료전지 시장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연료전지는 수소차와 함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축인 만큼, 향후 정부지원을 신설·강화하고 기술개발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특히 중소·중견기업과 연구기관, 대학 등이 협업하여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연료전지 분야의 고급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해 수소경제 이행 기반 및 산업생태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1월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2022년까지 연료전지 핵심부품 100%를 국산화하고, 2040년에는 8GW(기가와트)의 발전용 연료전지를 보급해 경제성 확보 및 수출 산업화를 달성하겠다는 목표가 담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