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상용화’ 4월로 연기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소라, 송창범 기자
입력 2019-03-07 10: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이달말 예정 5G단말기·전용요금제 출시 줄줄이 무산

  • 과기부와 이통3사 준비하던 대규모 5G 행사도 연기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3월 출시를 목표로 야심차게 준비해온 ‘세계 최초 5G 상용화’가 4월로 연기된다. 5G단말기와 전용요금제 준비가 미비한 상황에서 과기정통부의 보여주기식 이벤트가 독이 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성배 과기정통부 기조실장은 7일 열린 '2019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5G폰 품질 확보를 위해 현재 제조사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언제 가능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사실상 5G 상용화 연기를 인정한 것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5G단말기 출시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데 이어, 이동통신 3사의 5G요금제 서비스 일정도 차질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이통 3사가 5G 전파를 첫 송출한 이래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5G 한류’를 강조하며, 3월 말 5G상용서비스 출시를 적극 추진해왔다.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LG유플러스, KT 등 단말기 제조사와 이통 3사를 방문해 5G 준비상황을 직접 점검하며 대대적인 5G 행사를 준비했다.

이에 맞춰 이통3사는 삼성과 LG의 5G폰 출시와 함께 전용요금제를 내놓고 상용 서비스에 나설 계획이었다. 그러나 LG의 ‘V50씽큐 5G’가 칩셋 호환 문제로 5월 이후로 출시가 밀렸고, 삼성 또한 '갤럭시S10'의 5G칩셋 테스트가 마무리되지 못하면서 요금제 준비가 무색해졌다.

게다가 5G전용요금제를 둘러싼 과기정통부와 이통사 간 갈등도 상용화 일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SK텔레콤은 최근 과기정통부에 5G요금제 인가 신청서를 냈지만 반려된 상태다. 수요예측이 어려운 프리미엄5G 서비스를 저가요금제로 설정하라는 과기정통부의 무리한 요구가 반영된 탓이다.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은 통신요금제 기준이 되어왔기에 KT와 LG유플러스의 요금제 준비에도 비상이 걸렸다.

과기정통부와 이통 3사는 이달 말 5G 모바일 상용화를 선언하는 대규모 행사 '코리아 5G데이'도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무기한 연기가 불가피하게 됐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단말기가 나오기 전에 요금제가 나오는 것은 의미가 없다 보니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전성배 실장은 "5G폰 단말기 품질이 완비되지 않은 만큼, 품질이 확보되는 시점을 감안하면 3월 중 상용화라고 확답하기는 어렵다"며 "하지만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4월 상용화 행사를 암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