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2019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자료=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는 우선 민간 주도 방식의 제2 벤처 붐 확산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 1조원 규모의 모태펀드를 마중물로, 민간자금을 끌어 모아 벤처펀드 4조8000억원을 조성하고, 오는 2022년까지 총 12조원 규모의 스케일업(Scale-Up·기업의 폭발적인 성장) 전용 펀드를 마련키로 했다.
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3000억원 규모의 인수합병(M&A) 펀드를 조성하고, 중소기업 M&A 법인세 감면도 오는 2021년까지 연장한다.
또 중기부는 지역으로의 창업‧벤처 열기 확산을 위해 올해 1000억원 규모의 지방투자 전용펀드를 조성한다. 재기 지원을 위한 연대보증 폐지에 따른 면제 건수도 지난해(6만5000건)보다 38% 늘린 9만여 건으로 확대한다.
정책금융기관이 보유한 오래된 부실채권도 단계적으로 정리한다. 올해 대상자는 약 3만명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신기술‧신서비스 스타트업, 유니콘 기업 등이 자유롭게 성장토록 규제 제약없이 사업화를 할 수 있는 규제자유특구도 오는 7~8월 지정된다.
O2O(오프라인 기반 온라인) 분야 등 4차 산업분야 규제 개선과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기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할 수 있는 간담회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은 이날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한화드림플러스에서 ‘스타트업과의 동행(O2O 규제개선 아이디어 스타트업에게 찾는다)’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홍 장관은 "벤처·창업을 혁신 성장의 핵심 과제로 선정해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현장에 귀기울여 애로를 해소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