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는 올해 들어 가파르게 상승했지만 지난주(3월4~8일)에는 2월 수출입 지표 부진, 외자 과열에 따른 A주 MSCI 종목 제외 리스크 등 악재가 겹치면서 급락했다. 마지막 거래일인 8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6.56포인트(4.4%) 하락한 2696.86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10월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이로써 5거래일 만에 3000선 아래로 주저앉았다.
이번주 중국 증시가 상하이종합지수 3000선 회복을 바탕으로 상승폭이 제한적이더라도 추가 반등세를 이어갈지 아니면 단기적 조정장을 거칠지 관심이 쏠린다고 중국증권망(中國證券網)이 10일 보도했다.
이번주 중국 증시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소로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 ▲외상투자법 통과여부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생산자물가지수(PPI) 영향 ▲산업생산, 소매판매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다.
특히 외국인 투자 보호를 골자로 하는 외상투자법 초안 통과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8일 중국 지도부는 외상투자법 초안 설명 및 심의를 진행했고, 이후 오는 15일 전인대 마지막 회의에서 외상투자법 초안 표결이 이뤄진다.
초안에는 외자기업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고 강제 기술이전을 금지하는 내용뿐 아니라 외국기업의 투자·사업 환경 개선 내용이 포함돼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 기술이전 강요 금지, 외국인 기업의 내국민 대우, 외국인 독자 투자기업 허용 분야 확대 등을 규정하고 있어 미·중 무역갈등이 촉발된 원인 중 하나인 지적재산권 보호와 기술의 강제 이전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보인다.
하지만 미·중 무역협상 진행 상황이 중국 증시에 불확실성을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졌다. 급진전되는 듯하던 미·중 무역협상이 다시 안갯속으로 빠졌다. 아직 정상회담 날짜가 정확히 잡히지 않은 가운데 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애초 27일께로 예정되던 미·중 정상회담이 내달 초로 미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주엔 1~2월 산업생산·고정자산투자·소매판매 발표(14일) 등 주요 경제지표도 잇달아 발표된다. 지표가 부진하다면 중국 경기 둔화 부담이 시장을 짓누를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중국 당국은 산업생산과 소매 매출액, 고정자산 투자 등은 월별로 통계를 내긴 하지만 1월과 2월은 춘절(설) 연휴로 인한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시황을 반영하고자 이를 합쳐서 공표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는 1~2월 소매판매액 증가율이 전년 동기대비 8.1% 늘어났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전달(8.2%)보다 위축된 수치다. 1~2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 같은 달보다 5.5% 늘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전달(5.7%)보다 줄어든 수치다. 1~2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12월 5.9%에서 0.1% 포인트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9일 나온 물가지수도 이번주 증시 향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중국 증권시보(證券時報)가 10일 보도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월 CPI가 전년 동월대비 1.5% 상승에 그쳤다. 13개월 만에 최저치다. PPI도 전년 동기 대비 0.1% 상승에 그치며 2개월 연속 ‘제로’에 근접했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에 따른 중국 내 경기둔화가 제조업 생산 부진, 원자재 수요 감소로 이어진 데 이어 물가 하락도 유발했다고 매체가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