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3/11/20190311103848634005.jpg)
이날 야 3당은 마포의 한 호텔에서 조찬회동을 하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복수의 참석자들이 밝혔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오늘부터 이틀 정도에 걸쳐 민주당과 함께 패스트트랙에 포함할 법안과 내용에 대해 집중 논의해 신속히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패스트트랙을 더는 미룰 수 없는 상황까지 왔고, 내일까지는 결론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라며 “(개혁) 법안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민주당과 협상해 정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에서 패스트트랙에 함께 올릴 법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지만, 최종 결론에 이르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 3당은 여야 4당의 선거제 개혁과 관련해선 의원정수 300명 중 비례대표 75석에 대해 가급적 온전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실시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는 민주당이 제안한 지역구 225석‧비례대표 75석 비례대표 안 가운데 일부를 수용한 것이다. 민주당과 야 3당은 이날 오후 패스트트랙 공조 논의에 들어갈 방침이다.
이날 조찬 회동에 앞서 전날 자유한국당이 내놓은 ‘의원정수 270명 10% 감축‧비례대표 폐지’ 개혁안에 비판이 쏟아졌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회의 전 “한국당안은 신의를 갖고 해야 할 선거법 협상에 전혀 걸맞지 않은, 협상을 하지 않겠다는 안”이라고 했다.
천정배 평화당 의원도 “한국당이 주요 선진국들이 비례대표를 뽑지 않는다고 했는데 완전한 가짜뉴스”라며 “비례대표를 없앰으로써 승자독식 선거제를 극단적으로 강화하겠다는 것으로 시대착오적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는 “한국당안은 상식에 어긋난 몽니 부리기로 나경원 원내대표가 합의문을 다 깨는 후안무치한 행위를 했다”며 “국민을 바보로 아는 건가”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