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인사이드] ​'세종시 출입기자 300명 훌쩍' 저널리즘 침범한 '명함만 기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기완 기자
입력 2019-03-14 08: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일부 사이비 기자 공공기관서 고자세 횡포, 태권도협회 직원 등도 인터넷기자 증으로 이중적 활동하는 신종 사례도 나타나…

 [그래픽= 아주경제 DB]

정부부처와 산하기관 등이 모여 있는 곳. 국내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 다수의 정부 부처가 설치돼 있는 곳이다.

세종특별자치시를 출입하는 기자들이 300여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특별법에 따라 2012년 7월 출범해 신도시로 건설되면서 많은 언론매체 기자들이 세종시를 출입하고 있다.

출범 초창기에는 일부 사이비 기자들이 신도심 일대 건설현장 등을 다니며 문제점을 지적하는 전형적인 수법으로 금품을 요구하는 사건이 다수 발생해 사이비기자 기생지역으로 손꼽히기도 했다.

출범 초기 출입기자가 100여명으로 집계됐었지만, 현재는 300명이 넘는 기자들이 출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범 7년차에 접어들면서 200여명이 넘게 추가로 등록된 것이다. 이중에는 명함만 기자인 사이비 기자들도 다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규제에 따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건설현장 등을 주무대로 활동했던 사이비 기자들이 검·경의 역할로 활동이 차단되자 이제는 공공기관을 찾아다니며 횡포를 일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자 명함을 가지고 다니며, 사극에서나 나올듯한 고자세로 휘젓고 있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것이 세종시의 특성상 공무원 도시로 불릴정도로 많은 정부부처와 유관기관들이 들어서 있어 이를 틈타 이권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사이비 기자들도 다수 있다는 전언이다.

게다가 직업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기자 명함을 가지고 다니면서 이중적 생활을 하는 신종 사례도 있는 것으로 드러나 폐해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매체에서 자체적으로 지급한 기자 증을 가지고 다니며 시민사회를 우롱하거나, 언론사회를 농락하는 등 저널리즘을 기망하고 있다.

또, 지역 내 한 협회의 경우 근무하는 직원은 경상도에 등록된 한 인터넷 기자 증을 발급 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무늬만 기자 흉내를 내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 등 논란이 되고 있다.

취재결과 이 협회는 현재 불·편법 등 다수의 혐의로 사법기관에서 수사를 받고 있고, 세종시체육회에서 진상조사를 벌이고 있는 태권도협회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매체에서 이들의 직책은 사회부 기자와 지사장이다.

태권도협회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에 있고, 시 체육회가 진상조사를 시작하면서 돌연 인터넷 기자 증을 가지게 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지 배경에 의문이 제기된다. 사법기관의 수사와 상위기관의 진상조사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이 같은 일이 발생됐다는 점에서 논란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