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원구청사 전경.[사진=노원구 제공]
건물 준공 후 6개월에서 1년 내에 실시한다. 하자 발생 원인 및 대책 등의 통합적인 조사·분석을 통해 향후 유사한 사례 발생 시 근원적으로 대응키 위함이다.
평가 대상은 공사비가 10억원 이상 소요된 공공건축물이다. 기존 '건설기술진흥법'에 명시한 공사비 300억원 이상 건축물 사후 평가제도 보다 기준을 강화한 것이다. 소규모 공사까지 확대하는 건 서울 자치구 중 처음이다.
올해는 월계문화복지센터, 불암문화정보도서관, 상계청소년 문화의집, 노원 수학문화관(7월 준공 예정) 등을 평가한다. 지표는 △사업비 및 공사기간 적정성 △하자 발생 원인과 대책 △사용자 만족도 등이다.
평가반은 노원구 건축위원회 및 건설기술 자문위원회의 외부 전문가들과 공공건축물 사용자 중심으로 구성한다. 향후 사후평가 대상을 소규모 공공건축물로 확대하는 법률 개정도 건의할 예정이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공공건축물은 주민들에게 좋은 행정서비스가 목적인 만큼 반복적인 하자 발생을 줄이고, 주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도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