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양도소득세 실적은 18조원으로 재작년 15조1000억원 대비 19.2% 증가했다. 지난해 급등한 집값이 양도세 확대의 주원인으로 보인다.
양도소득세 확대 원인으로는 지난해 4월 다주택자 중과 시행 전 부동산 거래가 증가한 영향이 거론됐다. 하지만 양도소득세 확대의 직접적인 원인을 거래 증가로 단정하긴 어렵다. 양도소득세 실적이 늘어난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2017년 94만7104건에 비해 9만885건(-9.6%) 감소한 85만6219건에 그쳤기 때문이다.
오히려 양도소득세 실적은 집값 상승과 비례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아파트 매매가격은 8.95% 올라 전년 상승률(5.33%)보다 3.62%p 높았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에서 확정신고된 양도소득금액은 2016년 8229억원에서 지난해 7267억원으로 962억원(11.7%) 감소했다.
비수도권에서 확정신고된 양도소득금액이 감소한 데는 경남, 울산, 전북 등 일부 지역들의 지역기반산업 침체로 집값이 하락한 영향이 크다. 2016년 비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년보다 4.05%p 하락한 2.91%를 기록했다.
반면 본격적으로 집값이 오른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2016년 5.92%에서 지난해 12.65%로 가파르게 올랐다.
다만 9.13대책 이후 대출규제가 강화되면서 부동산시장이 침체되자 수도권 집값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도권 월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지난해 12월 -0.04%에서 지난 2월 -0.12%로 하락폭이 커졌다.
이처럼 집값이 하락하는 시기에는 주택수요자들이 매수를 미뤄 거래가 감소하게 된다. 매도자들의 급매물이 출시되면서 매매가 추가 하락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진 = 부동산114]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