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세계경제]"경기 꺾일라"...美·中·유럽·日 경제도 '고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신회 기자
입력 2019-03-17 16: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세계 경제가 심상치 않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동시다발적인 성장세를 띠기 시작한 지 불과 2년도 안 돼 다시 침체 위기에 직면했다. 미국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독일 도이체방크 등 몇몇 투자은행들은 경기 바닥론을 제기하면서도 하방위험에 대한 경계감을 거두지 않았다. 미·중 무역전쟁, 중국 성장둔화,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대표적 불안 변수로 꼽힌다. 바닥론에 힘이 실리려면 이들 하방위험이 해소돼야 하는데 당분간은 여의치 않아 보인다.

◆미국··· 초조해진 트럼프 '정치' 역풍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초조한 기색이 역력하다. 미·중 무역협상을 서둘러 마무리지으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경기침체 우려가 커진 탓이다. 지난해 말 증시가 곤두박질친 것도 트럼프의 불안감을 자극했다. 증시 랠리는 그가 자신의 정책을 정당화해온 수단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최신 이코노미스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내년, 3분의1은 2021년에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2020년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겐 청천벽력 같은 얘기다.

지난달 미국 고용지표는 충격적이었다. 실업률은 4.0%에서 3.8%로 떨어졌지만, 신규 취업자 수가 2만명에 불과했다. 지난해 12월 22만 2000명, 1월 31만1000명에서 급감했다. 고용쇼크는 미국 경제의 70%를 차지하는 소비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다만 고용 악재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인상 중단 방침을 지속시키면서 단기적으로는 호재가 될 전망이다.

그럼에도 증시 전망은 생각만큼 밝지 않다. 지난해 말 곤두박질쳤던 뉴욕증시는 올 들어 급반등했다. 연준의 금리인상 중단, 연내 자산축소 종료 방침과 미·중 무역협상 순항 조짐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하지만 월가에서는 미국 기업들의 실적 침체가 증시 랠리에 제동을 걸 수 있다고 본다. 올 1분기에 미국 기업들의 순이익이 11분기 만에 처음 감소세(전년 동기 대비)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멕시코 국경장벽 건설 예산을 둘러싼 정치권의 교착상태도 경제를 위협한다. 민주당은 예산 규모를 떠나 장벽 건설 자체를 반대한다. 예산안 갈등은 전처럼 연방 부채 한도 증액 문제와 맞물려 미국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중국··· 눈덩이 채무, 고용불안에 소비부진까지

중국의 지난해 경제 성장률은 6.6%였다. 목표치(6.5%)는 초과 달성했지만, 28년 만에 최저치였다. 올해 목표치는 '6.0~6.5%'로 더 낮춰 잡았다. 미·중 무역전쟁 등 대내외 악재에 따른 경기 하방 압력이 심상치 않다는 점을 자인한 셈이다. 중국 지도부는 '더 쓰고 덜 걷는' 방식으로 올해 경제 안정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지만, 고용불안에서 비롯된 소비부진 우려가 만만치 않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최근 중국에서 임금 수준이 높은 인터넷·부동산업계에서 구조조정 소문이 난무한다고 전했다. 장리췬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연구원은 이 신문에 "무역전쟁의 영향으로 광둥성의 상당수 수출기업들이 공장 직원들에게 휴가를 줬다"고 귀띔했다.

지난 1~2월 중국의 대미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4% 줄었다. 중국이 지난해 말 선제적으로 수출을 대거 늘린 탓에 미국의 추가 폭탄관세 부과 연기 조치에도 수출을 늘릴 여지가 별로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월 중국 전역의 도시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실업률은 5.3%로 지난해 12월의 4.9%보다 높아졌다. 중국 정부는 올해 실업률을 5.5% 선에서 유지한다는 계획인데, 비관적인 전망에 힘이 실린다.

무엇보다 즉각적으로 고용 증대를 할 수 있는 대규모 투자가 여의치 않아서다. 눈덩이처럼 불어난 채무 탓이다. 니혼게이자이는 중국 지방정부의 채무가 공식통계로 18조 위안(약 3045조원)이지만, 실제로는 40조 위안이 넘을 것이라는 추산도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당수 지방도시들이 채무 상환에 고심하다 보니, 중앙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한 사업을 추진해도 실행에 주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적극적 부양 조치 덕에 올여름부터 중국 경기회복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지만, 재정수지 적자에 경상수지 적자가 맞물리는 '쌍둥이 적자' 수렁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16일자 최신호에서 중국이 올해 1993년 이후 26년 만에 처음으로 경상수지 적자(연간 기준)를 기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출산 고령화로 재정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경상수지마저 적자로 돌아설 경우 외자 이탈의 빌미가 될 수 있다.

◆"경기 꺾일라"··· 유럽·일본도 침체 우려

유럽연합(EU)과 일본에서도 경기가 곤두박질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EU는 여전히 시계 제로 상태인 브렉시트뿐 아니라 미·중 무역전쟁을 둘러싼 불확실성에도 노출돼 있다. EU 경제의 20%를 차지하는 독일은 무역전쟁에 따른 중국의 성장둔화 여파로 지난해 말 제로(0) 성장을 기록했다. 이탈리아는 이미 침체 국면에 들어섰다. 유럽중앙은행(ECB)은 결국 올해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성장률 전망치를 1.1%로 종전보다 0.6% 포인트 낮춰 잡고, 연내 금리인상 계획을 철회했다.

일본에서도 전후 최장기간 지속된 회복세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 내각부는 최근 1월 경기동향지수가 3개월 연속 하락하며 5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며, 경기기조 판단 문구를 '제자리 걸음'에서 '하락으로 국면 전환'으로 낮췄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도 필요하면 추가 완화에 나설 태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