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은 정부의 포용국가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지방공무원 50여 명을 대상으로 이달 20일부터 22일까지 '포용국가와 지역 일자리 정책과정'을 신설해 운영한다. [자료=자치인재원 제공]
최근 '광주형 일자리' 타결로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이 지역경제에 새 활력을 불어넣어줄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일자리위원회는 상반기 중 '상생형 지역일자리' 합의가 2~3곳으로 더 늘어나고, 하반기 신규 취업자수도 20만 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월 신년사를 통해 "국민의 삶이 고르게 나아지고 불평등을 넘어 함께 잘 사는 첫 해로 만들어 보겠다"며 "광주형 일자리는 우리 사회가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만들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자치인재원에서는 지속가능하고 더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포용국가 전략 중 '사회서비스의 공공성과 신뢰성 강화 및 일자리 창출'을 첫 번째 시책교육 과정으로 개설했다.
청년드림사업은 청년들이 지역현장에서 원하는 근로 경험을 쌓으며 고용시장 진입과 지역사회 정착에 기여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선도유형에 포함됐다.
박재민 자치인재원장은 "이번 교육과정을 통해 포용국가에 대한 가치와 이해를 돕고 중앙과 지방 현장에서 다함께 잘사는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앞장서 주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자치인재원은 포용과 혁신을 이끄는 교육을 통해 국정과제의 성과 창출을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