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찰자가 소유권을 이전하고 등기를 치면 신원이 밝혀질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과정은 보통 6개월가량 걸린다. 공매 사이트 온비드를 관리하는 캠코는 낙찰자의 개인정보를 법적으로 보호해야 해 신원을 밝힐 수 없다.
22일 캠코 온비드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6차 공매 입찰에서 전 씨 자택이 51억3700만원에 낙찰됐다. 매각금액은 감정가 102억3285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낙찰자의 신원에 대한 궁금증이 크다. 시장에서는 전 씨의 연희동 자택이 유찰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현 소유자인 이순자 씨 등이 최근 서울행정법원에 ‘공매 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했을 뿐만 아니라 전 씨를 상대로 명도 소송을 제기해야 하는 등 상황이 매우 복잡해서다.
관련 업계에서는 “낙찰자 본인이 신원을 밝히지 않는 한, 6개월 뒤쯤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한다. 소유권 이전 후 친 등기를 통해 파악 가능한데, 이러한 절차에 6개월 가량 소요되서다.
낙찰자는 현금부자이거나 전 씨의 측근일 것이란 추측이 많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대출규제가 강해 매수자들이 선뜻 나서기 힘들다는 지적했다. 다만, 현지 중개업소 대표들은 “공매 1차는 주변 시세와 큰 차이가 없다”며 “지속 유찰돼, 마지막에 반값으로 떨어지면 해볼 만한 베팅”이라고 입을 모았었다.
낙찰자가 꺼릴만한 점은 소송 문제다. 캠코는 “현재 체납자가 공사를 상대로 공매집행정지 신청해 절차 진행 중으로 집행정지 및 관련 소송결과에 따라 공매처분 정지 및 매각결정취소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캠코 관계자는 “이후 절차에 대해서는 집행정지 및 관련 소송결과에 따라 위임기관인 서울중앙지검에서 결정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경매 업계에서는 전례를 감안할 때 전 씨의 측근이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이번 공매 물건에 포함된 토지(95-5 토지)와 단독주택은 지난 2003년에 서울지검이 강제경매를 했었다. 당시 이순자씨의 동생인 이창석씨가 감정가(7억6449만원)의 2배 이상인 16억4800만원에 낙찰받았었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전씨 측근 혹은 현금을 두둑히 보유한 개인일 수 있다”면서도 “현재로서는 추측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매각허가는 다음 주에 결정되며 이로부터 30일간 잔금납부기한이 주어진다. 잔금납부기한보다 10일가량 긴 납부최고기한 안에 잔금을 납부하지 못하면 배당금에 귀속된다.

사자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전두환 전 대통령이 11일 오전 광주지법에서 열릴 재판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을 나서고 있다.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