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컨설팅업체 우드맥켄지는 27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2030년 재생에너지 예상 보급률은 17%로, 원래의 목표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30년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중 목표는 석탄 36.1%, 액화천연가스(LNG) 18.8%, 원자력 23.9%, 석유 0.3%, 재생에너지 20.0% 등이다.
우드맥켄지의 2030년 전망은 석탄 40%, LNG 18%, 원자력 25%, 석유 0%, 재생에너지 17%다. 재생에너지가 정부 계획보다 3%포인트 낮고, 석탄과 원자력 발전 비중은 좀 더 높다.
지싱 네오 대표컨설턴트는 "해상풍력이 본격적으로 육성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며 "해상풍력이 충분히 성장하면 재생에너지 목표도 맞추고, 석탄 발전 비중도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싱 네오(Zi Sheng Neoh) 우드맥켄지 대표컨설턴트가 27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30년 한국의 에너지원별 발전비중 전망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 우드맥켄지]
태양광 설비용량이 올해 약 8GW에서 2030년 37.5GW로 증가하고, 특히 건물 지붕 등에 소규모로 설치하는 분산형 태양광이 새로 증가하는 태양광 설비의 6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풍력에서는 해상풍력이 2030년까지 6.4GW로, 올해 대비 64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로버트 리우 수석애널리스트는 "한국이 지닌 조선 분야의 우수한 전문성을 활용해 해상 부유 시설 기술 등을 포함한 성숙한 해상 전력 공급망을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드맥켄지는 또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이 발전사업자로부터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을 직접 구매하는 전력구매계약(PPA)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 인센티브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 조정, 50만㎾ 이상 규모의 발전사업자에 총발전량의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게 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목표 상향도 제안했다.
영국에 본사를 둔 우드맥켄지는 석유, 가스 등 천연자원 산업 시장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한국에서는 자원공기업, 발전사, 정유·석유화학 기업 등과 협력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