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베이징 시내에 늘어선 차량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올해 전기차 보조금을 기존의 절반으로 삭감, 1회 충전 주행시 250㎞ 이하 주행 순수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완전히 없애기로 했다.
중국 재정부, 공업정보화부, 과학기술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은 26일 신에너지자동차 보급 응용 보조금 정책에 관한 통지를 발표해 이날부터 신에너지자동차에 대한 보조금을 삭감할 것이라고 전했다고 중국 증권시보 등 현지 언론이 27일 보도했다.
보조금은 2018년 기준에서 평균 절반 정도 삭감됐으며, 내년부터는 신에너지차 보조금을 완전히 철폐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올해부터 1회 충전시 250km 미만 주행거리 전기차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아예 지급하지 않는다. 지난해 150㎞ 미만에서 보조금 지급 기본요건이 더 높아진 것이다. 그리고 주행거리 250~400km, 400km 이상에 대해서는 각각 1만8000위안 2만5000위안 보조금을 지급한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지난해 중국은 150~200㎞는 1만5000위안, 200~250㎞는 2만4000위안, 250~300㎞는 3만4000위안, 300~400km 이상은 4만5000위안으로 보조금을 차등지급했다.
올해부터 순수전기 모드에서 1회 충전 시 50㎞ 이상 주행 가능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승용차 보조금도 지난해 1만2000에서 1만 위안으로 삭감했다.
중국 정부의 새 전기차 보조금 정책 발표로 중국 전기차 시장은 기술력을 가진 선두 기업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조금에 연명하던 중소기업들이 시장에서 도태되고 선두기업들은 기술 수준을 높여 시장 점유율을 한층 더 확대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특히 각 업체들은 전기차 배터리 기술력을 향상해 주행거리를 높이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이미 전 세계 최대 신에너지차 시장이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전기차를 비롯한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는 125만대로, 전년보다 62% 급증했다. 올해는 약 30% 늘어난 16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 그동안 중국 내에서는 신에너지차 시장 성장세가 가파르긴 하지만 여전히 보조금 정책에 과다하게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