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2018년 11월 발표된 ‘2017년 연구개발활동조사’를 토대로 정보통신기술 기업체의 연구개발 활동(연구개발비, 연구개발인력)을 분석한 ‘2017년도 ICT R&D 통계’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7년 ICT 연구개발비는 2016년 31조2200억원 대비 15.1% 증가한 35조9488억원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연평균증가율인 8.0% 보다 대폭 상승했다.
ICT 연구개발인력도 15만8197명으로 전년 15만1587명 대비 4.4% 증가했다. 연평균증가율(2012~2017년, 2.3%)보다 눈에 띄게 증가했다.
단계별 ICT 연구개발비 비중은 개발연구 단계가 약 70%를 차지해 우리기업들은 신제품 개발과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데 주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연구개발인력의 경우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2.7%)과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콘텐츠 개발·제작업’(21.7%)은 매년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보통신방송기기업’(75.6%)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ICT 연구개발인력 중 보조·행정지원 인력(약 10% 비중)을 제외한 순수 연구원은 공학 전공자(83%)와 학사 학위 소지자(62.1%)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기정통부 용홍택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2017년은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업들의 ICT R&D 투자와 인력이 전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번 통계결과를 토대로 ICT R&D 정책을 수립하고 관련 기업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3/28/20190328074337972960.jpg)
[과기정통부 로고.]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