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3/28/20190328105551799685.jpg)
2차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계획. [자료=농림축산식품부]
2차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지역이 전라남도 고흥과 경상남도 밀양으로 선정됐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들 지역을 스마트팜 혁신밸리 2차 조성 지역으로 선정하고, 청년농업인 창업보육과 기술혁신의 거점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4월 '스마트팜 확산방안'을 통해 2022년까지 전국에 혁신밸리 4개소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지난해 1차 공모에서는 경북 상주와 전북 김제가 선정됐다.
올해 1월 부터 진행항 2차 공모에는 5개 시·도가 응모했다.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는 3단계(서면·현장·대면) 평가를 통해 이들 2개 시·도를 대상지로 확정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자체의 사업추진 여건, 추진 의지, 운영계획의 구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특히 계획의 실현가능성, 지역 가용자원을 활용한 차별 모델 등을 중점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혁신밸리는 스마트팜에 청년인력 양성, 기술혁신 등의 기능을 집약시켜 농업과 전후방 산업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농산업 클러스터다.
이를 위해 청년 교육과 취업·창업을 지원하는 창업보육센터, 초기 투자부담 없이 적정 임대료만 내고 스마트함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임대형 스마트팜, 기업과 연구기관이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해보는 실증단지가 핵심 시설로 조성된다.
올해 예산은 기반조성에 210억원, 보육센터에 122억원, 임대형팜 164억원, 실증단지 192억원 등이 배정됐다.
이와 함께 산지유통시설, 농촌 주거여건 개선 등과 관련해 지자체 자체 사업과도 연계해 농산물 유통과 청년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중앙단위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농업계의 의견을 반영하고 혁신밸리 추진전략과 방향을 조율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자체가 제출한 예비계획을 보완해 8월까지 지역별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며 "내년 초부터 핵심시설(보육센터, 임대농장, 실증단지)이 착공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농식품부는 현장 농업인들이 스마트팜을 체감할 수 있도록 컨설팅과 농가단위 보급도 확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축산·노지 등 농업 전분야로 스마트 모델을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