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지 약 한 달만에 한국과 미국이 ‘포스트 하노이’를 위한 한미정상회담에 나서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북미 중재역에 대한 구상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29일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달 10∼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양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양국의 공조 방안을 심도 있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달 27~28일 열린 하노이 회담이 결렬된 이후 두 정상이 처음만나는 자리다.
두 정상은 현 상황에 대한 분석과 평가, 앞으로의 전망 등을 공유하고 조속한 북미정상회담 재개를 위해 대화의 동력을 함께 모색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미 대화에 적극적 중재역을 자처하고 있는 문 대통령이 내놓을 ‘굿이너프딜(충분히 괜찮은 딜)’ 카드에 대한 관심도 쏠린다.
외교가에서는 이러한 전략이 ‘포괄적 합의와 단계적 이행’의 큰 틀을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이도훈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은 지난 28일 한미외교장관 회담 참석을 위해 출국하면서 “비핵화 협상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일괄타결 위에 단계적 이행”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의 ‘일괄타결’과 북한의 ‘단계적 이행’의 접점으로 기존 한국 정부의 입장이었던 '포괄적 합의와 단계적 이행'과 비슷한 맥락이다.
한미 정상회담이 가시화되면서 ‘포스트 하노이’를 위한 물밑 움직임도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이날 오후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 간 한미 외교장관 회담이 열리고,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도 이번 주말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다음달 1일에는 한미 국방장관회담이 열려 대북정책, 방위비 협상, 한미훈련 등 현안을 집중적으로 조율할 예정이다.
북한과 러시아의 정상회담도 이르면 4월에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전을 책임지고 있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이 최근 러시아를 방문하고 귀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음달께 김 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을 위해 러시아를 방문할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