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는 ‘문재인 정부 포용국가 사회정책 추진계획’ 대국민 보고를 통해 돌봄, 배움, 일, 쉼, 노후 등 생애주기에 따른 5대 영역별 필요한 지원을 강화하고 그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밝힌 바 있다.
노후 영역에 있어서는 노인세대 부양을 가족과 정부가 함께 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특히 어르신의 안정적인 노후 지원을 위한 핵심 과제로서 치매 환자와 가족을 위한 돌봄과 지원을 강화하는 치매국가책임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회관계장관회의는 정책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치매국가책임제가 실현되고 있는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해 개최했다.

[사진=교육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한 관계부처는 성남 중원구 치매안심센터 시설에서 치매쉼터를 직접 체험하고, 서비스를 이용 중인 어르신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회의에서는 현재까지의 치매국가책임제 추진 성과와 올해 내 치매안심센터 완전 개소, 독거노인 전수 치매검진 실시 등 향후 발전계획을 담고 있는 ‘치매국가책임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안)’을 논의했다.
또한, 치매환자와 가족의 목소리가 반영돼 보다 내실 있게 치매국가책임제가 추진될 수 있도록 간담회에 치매어르신 가족과 치매안심센터 종사자가 참석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치매에 걸려도, 치매 환자 가족이 있어도 걱정과 부담 없이 안심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돌봄과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라며 “국민 모두가 보다 건강하고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치매 부담 없는 나라를 만드는 데 따뜻한 관심을 가져주시고 모두 포용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새겨주시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치매 국가책임제는 정부가 치매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분담하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명으로 포용국가 실현에 매우 중요한 축”이라고 말하며 “모든 지역에 치매안심센터 구축 완료, 독거노인 전수 치매검진 및 예방관리 강화 등 현재 추진 중인 과제들을 내실 있게 이행하기 위해,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관련부처와 협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사회관계장관회의는 ‘혁신적 포용국가’ 정책 과제들에 대해 분기별 1회 이상 관계 장관들이 현장을 직접 방문해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