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월 8만원에 5G(세대) 데이터·음성·문자를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파격적인 요금제를 내놓았다. 오는 5일 5G 이동통신이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초기 시장 선점이 경쟁의 관건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KT는 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5G 서비스와 슈퍼플랜을 포함한 4종의 5G 요금제를 공개했다.
슈퍼플랜은 베이직·스페셜·프리미엄 3종으로, 세 요금제 모두 속도 제어 없이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요금제마다 기본 데이터 양을 설정한 경쟁사와 달리 데이터 제한을 과감히 없앴다.
슈퍼플랜의 기본 격인 ‘슈퍼플랜 베이직’은 월정액 8만원에 5G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LTE 완전 무제한 요금제인 ‘데이터ON 프리미엄(8만9000원)’보다도 9000원이 싸다.
‘슈퍼플랜 스페셜’과 ‘슈퍼플랜 프리미엄’ 요금제는 각각 월정액 10만원, 13만원이다. ‘데이터 완전 무제한’은 물론, 월 최대 8만8000원 상당의 VVIP 멤버십과 4500원 상당의 단말 분실파손 보험(멤버십 포인트 차감)을 무료로 제공한다.
슈퍼플랜은 전 세계 185개국에서 로밍 데이터 무제한 혜택을 더해 차별성을 더했다. 해외에서는 요금제별로 속도 제한이 걸린다.
앞서 LG유플러스는 5G 요금제 3종을 출시했다. LG유플러스의 가장 비싼 구간인 5G 프리미엄 요금제의 경우 월 9만5000원에 데이터 제공량은 250GB로 제한된다. 데이터 소진 후에는 3종 요금제별로 1·5·7Mbps로 속도가 제한된다. 1Mbps는 메신저 사용이나 인터넷 브라우징 사용 등에는 무리가 없는 속도이며, 고화질 영상은 5Mbps로 충분히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VR·AR 영상은 7Mbps 속도로는 원활한 시청이 어렵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KT가 모두의 예상을 깬 요금제를 구성해 초기 시장 선점에 나섰다”고 평가했다.
슈퍼플랜 3종 요금제는 선택약정 할인 시, 매월 6만원(베이직), 7만5000원(스페셜), 9만7500원(프리미엄)을 부담하면 된다. 선택약정과 함께 ‘프리미엄 가족결합’까지 묶으면 매월 4만원(베이직), 5만원(스페셜), 6만5000원(프리미엄)에 이용할 수 있다.
KT는 5G 기본 요금제인 ‘5G 슬림’도 함께 선보였다. 5G 슬림은 월정액 5만5000원에 매월 8GB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선택약정 25% 할인을 받으면 월정액 4만1250원에 이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KT는 멤버십, 기기변경, 제휴할인 프로그램도 대폭 업그레이드했다. 5G 상용화와 함께 멤버십 VVIP 등급을 신설해 혜택을 늘렸으며, 5G 단말을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도록 ‘KT 5G 슈퍼체인지’, ‘48개월 단말 할부’, ‘슈퍼렌털’ 등의 구매 프로그램을 구성해 고객 혜택을 강화했다. 또한 5G 핵심 서비스 분야로 △커뮤니케이션 △게임 △미디어를 선정하고, 3대 분야에서 8개 초능력 서비스도 선보였다.
이필재 KT 마케팅부문장(부사장)은 “모바일 세대교체가 될 때마다 제조사가 중심이 되고 통신사업자는 따라가는 형국이었지만, 5G시대는 KT가 주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KT는 고객 최우선 전략의 일환으로 오는 5일부터 5G 커버리지 맵(map)을 KT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 KT는 올해 말까지 전국 85개 시 대부분 지역을 커버하는 5G 네트워크로 확대 구축해 전국 인구와 트래픽의 80% 이상을 커버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KT는 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5G 서비스와 슈퍼플랜을 포함한 4종의 5G 요금제를 공개했다.

박현진 KT 5G사업본부장(상무)이 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스퀘어에서 5G 데이터 완전무제한 요금제 ‘슈퍼플랜 3종’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KT 제공]
슈퍼플랜은 베이직·스페셜·프리미엄 3종으로, 세 요금제 모두 속도 제어 없이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요금제마다 기본 데이터 양을 설정한 경쟁사와 달리 데이터 제한을 과감히 없앴다.
슈퍼플랜의 기본 격인 ‘슈퍼플랜 베이직’은 월정액 8만원에 5G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LTE 완전 무제한 요금제인 ‘데이터ON 프리미엄(8만9000원)’보다도 9000원이 싸다.
슈퍼플랜은 전 세계 185개국에서 로밍 데이터 무제한 혜택을 더해 차별성을 더했다. 해외에서는 요금제별로 속도 제한이 걸린다.
앞서 LG유플러스는 5G 요금제 3종을 출시했다. LG유플러스의 가장 비싼 구간인 5G 프리미엄 요금제의 경우 월 9만5000원에 데이터 제공량은 250GB로 제한된다. 데이터 소진 후에는 3종 요금제별로 1·5·7Mbps로 속도가 제한된다. 1Mbps는 메신저 사용이나 인터넷 브라우징 사용 등에는 무리가 없는 속도이며, 고화질 영상은 5Mbps로 충분히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VR·AR 영상은 7Mbps 속도로는 원활한 시청이 어렵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KT가 모두의 예상을 깬 요금제를 구성해 초기 시장 선점에 나섰다”고 평가했다.

이필재 KT 마케팅부문장(부사장)이 3D와 AR기술을 활용한 영상통화 서비스 ‘narle(나를)’로 영상통화를 하고 있는 모습.[사진=KT 제공]
슈퍼플랜 3종 요금제는 선택약정 할인 시, 매월 6만원(베이직), 7만5000원(스페셜), 9만7500원(프리미엄)을 부담하면 된다. 선택약정과 함께 ‘프리미엄 가족결합’까지 묶으면 매월 4만원(베이직), 5만원(스페셜), 6만5000원(프리미엄)에 이용할 수 있다.
KT는 5G 기본 요금제인 ‘5G 슬림’도 함께 선보였다. 5G 슬림은 월정액 5만5000원에 매월 8GB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선택약정 25% 할인을 받으면 월정액 4만1250원에 이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KT는 멤버십, 기기변경, 제휴할인 프로그램도 대폭 업그레이드했다. 5G 상용화와 함께 멤버십 VVIP 등급을 신설해 혜택을 늘렸으며, 5G 단말을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도록 ‘KT 5G 슈퍼체인지’, ‘48개월 단말 할부’, ‘슈퍼렌털’ 등의 구매 프로그램을 구성해 고객 혜택을 강화했다. 또한 5G 핵심 서비스 분야로 △커뮤니케이션 △게임 △미디어를 선정하고, 3대 분야에서 8개 초능력 서비스도 선보였다.
이필재 KT 마케팅부문장(부사장)은 “모바일 세대교체가 될 때마다 제조사가 중심이 되고 통신사업자는 따라가는 형국이었지만, 5G시대는 KT가 주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KT는 고객 최우선 전략의 일환으로 오는 5일부터 5G 커버리지 맵(map)을 KT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 KT는 올해 말까지 전국 85개 시 대부분 지역을 커버하는 5G 네트워크로 확대 구축해 전국 인구와 트래픽의 80% 이상을 커버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