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리는 이날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71주년 맞는 제주4·3 희생자를 추념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며칠 전에도 정부는 4·3 희생자 130명과 유족 4951명을 추가해 희생자는 1만4363명, 유족은 6만4378명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희생자 유해를 발굴하고 실종자를 확인하며 생존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겠다"며 "'국가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과 배·보상 등 입법이 필요한 문제에 대해선 국회와 협의하고, 4·3평화재단 출연금도 늘어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목숨을 지킨 사람들에게는 연좌제와 사회의 낙인이 옥죄었다"며 "반세기 동은 4·3이라는 말 자체가 제주뿐 아니라 뭍에서도 금기에 가까웠다"고 부연했다.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에서 열린 71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추념사 도중 울음을 참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어 "2014년부터는 4·3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 그리고 오늘은 처음으로 군과 경찰도 사과했다"고 말했다.
그는 "4·3 영령들의 명복을 빌고 생존 희생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 폐허와 좌절을 딛고 평화로운 제주를 재건한 도민 여러분께 경의를 표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