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 교수는 독도와 일본군 위안부 등 한일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온 인물이다. 그는 21년째 "독도는 한국땅"이라고 소신 발언을 해왔으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일본의 주장에 반박하는 증거를 찾아내기도 했다.
유지 교수는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당시 일본이 위안부 강제 징용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고 사과하지 않는 태도로 일관한 것에 분노했다고 밝혔다.
그는는 "이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다"며 이것이 일본군 위안부 관련 증거를 찾기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됐다고 언급했다.
특히 유지 교수는 이날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다뤄진 일본 만화도 소개했다.
유지 교수는 "일본 유명 만화가 미즈키 시게루가 전쟁터에서 있었던 내용을 만화로 그렸다. 거기에 위안소가 나온다"고 말했다.
이어 "자신이 있던 곳에 세 사람의 위안부가 있었다더라. 다음 날 전투가 있으면 죽을 수도 있어서 위안소에 갔다고 한다. 위안부 한 명당 80~100명이 줄을 서 있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 사람들도 과장된 게 아닐까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피해자 증언을 뒷받침하기 위한 증거를 찾은 거다"며 "다카모리 무대 위안소 규정이라는 게 있다. 위안부 한 사람당 일본 병사 100명을 배정한다. 위안부들의 산책 구역 제한 규정도 있었다"고 말했다.

'대화의 희열2' 호사카 유지 교수[사진=KBS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