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농가는 102만1000가구로 1년 전보다 2만1000가구(2.0%) 감소했다. 농가 인구는 231만5000명으로 10만7000명(4.4%) 줄었다.
농가 인구 분포를 보면 70세 이상이 전체의 32.2%(74만5000명)로 가장 많았다. 이들 인구수는 전년보다 2.0% 증가했다. 3명 중 한명은 70대 이상으로 60대 인구(28.3%)를 더하면 58.0%에 이른다.
이로 인해 농가의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은 44.7%로 전년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사진=연합뉴스]
농가 경영주 평균 연령도 67.7세로 전년보다 0.7세 올라갔다. 경영주 평균 연령은 2015년 65.6세, 2016년 66.3세, 2017년 67.0세 등으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농가의 주된 가구 유형은 2인 가구로 전체 농가의 54.8%(56만가구)를 차지했다.
다만 농가 소득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000만원 미만인 농가는 66만2000가구로 전체 농가의 64.9%를 차지했고 1억원 이상 농가는 3만6000가구(3.6%)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해 1억원 이상 농가는 8.8%, 5000만∼1억원은 4.5% 증가했지만 120만∼1000만원 농가는 8.9% 감소했다.
정구현 통계청 농어업통계과장은 "농촌 인구는 줄지만 고령화는 심화하는 구조가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며 "다만 규모화에 따라 판매 수입 1억원 이상인 농가의 비율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