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을 계기로 18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우즈베키스탄 문화부, 과학아카데미와 문화유산 공적개발사업(ODA)을 위한 양해각서를 각각 체결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과 우즈베키스탄 문화부는 이번 양해각서 협약 체결을 계기로 올해부터 2021년까지 3년에 걸쳐 ‘아프로시압박물관’과 ‘역사건축예술박물관’에 대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아프로시압박물관은 고구려 사신이 그려져 있는 궁전벽화를 전시하고 있어 전시환경과 관람환경 개선을 우선으로 지원하고, 유물 보존처리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예정이다.
우즈베키스탄 문화부는 문화예술 분야를 비롯해 문화재 반·출입 심사 등 유·무형 문화재 정책 전반을 담당하며 ‘역사건축예술박물관’, ‘아프로시압박물관’ 등 8개 박물관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실크로드를 통해 고대 한반도와 중앙아시아 간 문화교류를 주도했던 중심지다. 대표적으로 남아 있는 유적지는 '아프로시압 궁전벽화'와 ‘쿨도르테파’다.
중앙아시아에서 제일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인 아프로시압(사마르칸트 역사도시)은 소그드인들에 의해 건설된 이후 동서 교역의 중심지로 번성한 곳으로 사마르칸트 동북쪽 언덕에 있는 아프로시압에서 7세기 중엽 바르후만(Vakhuman) 왕이 각국 사절들을 접견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 ‘아프로시압 궁중벽화’가 발견됐다.
궁중벽화의 서쪽 벽면 위쪽에는 두 명의 사신이 머리에 깃털을 꽂은 조우관을 쓰고 둥근 고리가 달린 큰 칼(환두대도)을 차고 있어 고구려 사신으로 추정된다. 당시 당나라 침입으로 절박한 상황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동맹을 추구하던 고구려의 외교 노력을 보여주는 문화재다.
쿨도르테파는 고구려, 통일신라 등 고대 한반도와 중앙아시안 간 문화교류를 보여주는 유적으로 사마르칸트에서 남동쪽으로 약 35㎞ 떨어진 지점에 있는 실크로드 길목이다. 1953년부터 1956년까지 러시아 예르미타시박물관과 사마르칸트박물관이 공동으로 궁성지 등 일부 지역을 시굴 조사해 유적 성격을 파악했지만 현재까지 정식 발굴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북방경제권 중심에 있어 우리 정부의 신북방정책의 핵심 지역으로 1400년간 이어져 내려온 양 국 교류의 역사를 복원하고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와 중앙아시아 간 북방지역 고대문화의 조사·연구와 실크로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문화재청은 기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