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케미칼, 연세대와 손잡고 '썩는 플라스틱' 개발

한화케미칼이 연세대학교와 함께 물 전기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 썩는 친환경 플라스틱 제조 등 혁신소재 개발에 돌입한다.

22일 한화케미칼은 연세대 본관에서 김창범 부회장과 김용학 연세대 총장, 문일 연구본부장 등 관계자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세대-한화케미칼 혁신기술연구소' 설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혁신기술연구소는 5월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5년간 운영될 계획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물 전기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 자연에서 썩는 친환경 플라스틱 제조 등 2개 부문 5개 과제다. 연구진으로는 국내 화학 및 화학공학 권위자인 문일 연구본부장 등 6명의 교수진이 참여한다.

연구 과제는 모두 친환경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는 원유를 원료로 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물을 이용하며, 플라스틱도 자연의 원료를 활용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기술을 적용한다.

한화케미칼은 이 같은 친환경 기술 연구를 통해 환경오염을 줄이는 순환경제로의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케미칼은 연구소에서 개발한 특허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또한 5년간 연구과제를 수행한 총 15명의 박사과정 학생들을 산학장학생으로 선발해 장학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창범 부회장은 "이번 협약으로 친환경 분야에서의 기술적인 성과는 물론 미래의 연구개발 인재들이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한화케미칼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