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해 국방부 관계자는 22일 "5월과 7월에 들어올 예정이었던 글로벌호크 1·2호기가 8월로 다소 미뤄졌지만 IOC평가를 받는데 영향이 없는데다, 향후 우리가 운용하게 될 미군의 정찰자산과 함께 검증을 받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현재 우리 군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등 전략 표적에 대한 정보를 미군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호크 도입이 연기되고, 고고도 무인정찰기(HUAV) 같은 정찰·감시 자산 역시 미뤄지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의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 여부가 (IOC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전작권 전환을 위한 첫 단추인 IOC 평가를 잘 받기 위해 만전을 기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글로벌호크 3·4호기는 연기 없이 예정대로 9월 중 도입된다. 하지만 미국이 "해킹 방지 등 사이버 보안 강화가 필요하다"고 글로벌호크 1호기 도입 시기를 지난해에서 올해로 늦추지만 않았더라도 이번 IOC에 3·4호기가 충분히 투입될 수 있었다라는 지적이다.
IOC 검증에서 어떤 성적표를 받느냐에 따라 향후 전작권 전환 시점도 가늠해 볼 수 있다라는 점에서 더욱 아쉬운 대목이다.
3·4호기가 투입돼 미군 정찰자산이 배제된 한국군 독자작전을 펼칠 수도 있게 된다면, 전작권 전환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함께 '문재인 정부 내 전작권 전환'이라는 목표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글로벌 호크는 지상 20㎞ 상공에서 레이더와 적외선 탐지 장비 등을 통해 지상 0.3m 크기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첩보위성 수준의 무인정찰기다. 24시간 한반도 전역을 감시할 수 있으며 작전 반경이 3000㎞에 달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