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이 전국 새 아파트(입주 2년 미만 아파트)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2017년 71%에서 올해 65%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이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전세가격은 2018년 이후 마이너스 변동률을 나타내며 전세가율 하락이 뚜렷하다.
지역별로 보면 전북, 제주, 서울 3개 지역만 전세가율 70%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부산, 충남, 대구, 광주 등 대부분 지역에서 전세가율이 낮아진 양상이다.
서울의 올해 전세가율은 71%로 70%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형 면적 아파트의 전세가율 하락이 두드러진다. 전용면적 60㎡ 이하의 새 아파트 전세가율은 79%지만, 전용 60㎡ 초과~85㎡ 이하의 새 아파트는 55%로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2017년 전용 60㎡ 초과~85㎡ 이하의 새 아파트 전세가율이 66%였던 것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실제, 전용 60㎡ 이하 새 아파트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차이는 2017년 9963만원에서 올해 6931만원으로 줄었지만, 전용 60㎡ 초과~85㎡ 이하의 새 아파트는 2억8391만원에서 5억102만원으로 오히려 격차가 벌어졌다. 매매가격 상승폭과 비교해 전세가격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이다.
경기지역의 올해 새 아파트 전세가율은 64%로 면적에 상관없이 전세가율이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전용 60㎡ 이하와 전용 60㎡ 초과~85㎡ 이하가 각각 65%수준을 보였다. 전용 85㎡ 초과는 58%로 낮아지며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50%대로 떨어졌다. 입주물량 증가로 전세 공급이 늘어나면서 전셋값이 하락한 영향이다.
인천은 2017년 83%였던 새 아파트 전세가율이 올해 60%까지 떨어졌다. 인천 경제자유구역인 송도, 청라, 영종 일대 새 아파트 공급이 증가하면서 전셋값이 낮아진 영향이다. 그 밖에 매매가격 상승이 컸던 광주는 올해 새 아파트 전세가율이 66%를 나타내며 2017년(82%)과 비교해 16%나 전세가율이 낮아졌다.
직방 관계자는 "입주물량이 늘어나면서 전세 공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후 전세시장의 하향 안정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며 "특히 잔금 마련 압박을 받는 새 아파트는 집주인들이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세를 내놓는 경우도 많아 전세가율 하락은 당분간 불가피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일부지역에서 전세 매물이 소화되고 하락폭이 둔화됐다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한 입주물량은 시장에 공급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어 전세가율 하락은 연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