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은 22일(현지시간)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5월 초 만료되는 제재 유예조치를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이번 결정은 이란의 원유 수출을 '제로화'(0) 하기 위한 목적에 따른 것"이라며 이란의 주 수입원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도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은 사실을 확인하며 "파괴적 행동 바꿀 때까지 대(對)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고 AP통신 등 현지 언론들은 보도했다.
미국은 지난해 11월 '이란 핵 합의' 탈퇴에 따라 자국의 대이란제재를 복원하면서 한국을 포함, 중국, 인도, 이탈리아, 그리스, 일본, 대만, 터키 등 8개국에 대해선 한시적으로 이란산 원유를 수입할 수 있도록 예외를 인정했다. 대신 미국은 이란산 원유수입량을 지속해서 감축하고, 감축량을 토대로 6개월마다 제재 예외 인정 기간을 갱신하도록 한 바 있다.
한편 이란 군부는 미국이 이란산 원유 수출에 대한 제한적 제재 유예를 연장하지 않은 데 대해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겠다고 경고하며 맞대응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걸프 해역의 입구로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UAE), 이라크 등 중동 주요 산유국이 원유를 수출하는 요로다. 전 세계 원유의 해상 수송량 가운데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란은 미국 등 서방과 긴장이 고조할 때마다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겠다고 위협했지만 실제로 실행한 적은 없었다.

[사진 =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