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2030년까지 수소차 13만 대 보급 시 경제효과 1조 5천억 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김문기 기자
입력 2019-04-29 09: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수소차 보급 활성화 위해 후보지 DB구축·도심지 충전소 설치 등 인프라 확충해야

 


지난 12일 경기도 최초의 개방형 수소충전소가 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 양방향에 개장한 가운데, 경기도가 2030년까지 수소차 13만 대를 보급할 경우 미세먼지 저감 효과와 함께 4만 3000명의 일자리창출 및 1조 5000억 원의 경제투자 효과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9일 수소차 보급 및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 ‘경기도의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충전인프라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가 제시한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차 보급 목표대수는 1단계 도입기(2019~2022년)는 6000대, 2단계 성장기(2023~2025년)까지는 5만2000대, 3단계 성숙기(2025~2030년)까지는 총 13만 대를 제시했다. 수소충전소는 2022년까지 27개소, 2025년까지 110개소, 2030년까지 총 150개소를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비는 매년 약 416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경기도가 2019~2030년 수소차를 13만 대 보급할 경우, 3억 4000 리터의 가솔린 대체효과, 35만 1000 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와 미세먼지의 주범인 질소산화물도 507톤 감축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4만 30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와 1조 5000억 원의 경제투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또한 2030년까지 150개소의 수소충전소를 설치⋅운영하는 경우, 261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 1560억 원의 수익효과, 5245억 원의 경제적 생산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강철구 경기연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인구 자동차등록대수 LPG⋅CNG충전소 자원 등 잠재여건이 가장 풍부함에도, 그동안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구축에 부진을 면치 못해 왔다”면서 “지원체계 강화를 통해 2030년까지 수소차 13만대 보급과 수소충전소 150개소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31개 시⋅군별 수소충전소 설치 후보지 수요조사와 DB 구축 △수소충전소 입지제한 및 이격거리유지 규정 완화 △대도시 도심지나 교통 요충지에 홍보용 수소충전소 설치⋅운영을 통한 안전성 홍보 강화 △수소인프라 전담조직 및 예산확충 △수소충전소 민간 특수목적법인(SPC) ‘하이넷’의 적극적인 이용 △도내 수소제조생산시설 설치 등을 제안했다.

강 선임연구위원은 “수소차는 배출가스가 없을 뿐 아니라 공기정화 효과까지 있어 미래 궁극의 친환경차로 인식되고 있다”며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적극적인 추진의지와 예산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