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1918년 5000만명 목숨 앗아간 스페인 독감 원인 찾았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명섭 기자
입력 2019-04-29 14: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PB1-F2 단백질에 돌연변이 있을 때만 스페인 독감 증상 나타나

  • 연구진 "새로운 형태의 인플루엔자 치료제 개발에 응용"

국내 연구진이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에서 독성을 일으키는 핵심 인자와 그 원리를 규명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 29일 밝혔다. 성백린 연세대 교수, 김균환 건국대 교수, 박은숙 교수, 김광표 경희대 교수 연구팀의 성과다.

1918년 발생한 스페인 독감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5000만 명 이상의 사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PB1-F2'라는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있음을 주목했다. 이것이 우리 몸의 항바이러스 역할을 하는 인터페론 베타를 강력하게 저해해 바이러스의 병독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밝혀냈다.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와 같이 PB1-F2 단백질의 특정 위치의 아미노산에 돌연변이가 있을 때만 이 특성이 나타나며, 돌연변이가 없는 병독성이 약한 일반적인 인플루엔자는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지 않았다.
 

고위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1918 pandemic virus)의 감염 기전모델 [사진=한국연구재단]

돌연변이 PB1-F2은 인터페론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필수 단백질인 ‘DDX3'를 분해시켜 인터페론 베타의 유도를 강력히 저해한다. 이는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 및 사망으로 이어진다.

김균환 교수는 “이 연구는 스페인 독감의 새로운 병인 기전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새로운 형태의 고 위험성 인플루엔자 감염의 치료제 개발에 응용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의 돌연변이 규명을 통해 스페인 독감과 같은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조기에 검출하고 이를 예측할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밝혔다.

성백린 교수는 “스페인 독감은 인류가 경험한 감염성질환 중 최고의 사망률을 기록한 사건으로서 이제 100년이 지난 시점에서 이의 높은 병원성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았고, 지난 12일 국제학술지 ‘엠보 저널(EMBO Journal)’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