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울산항만공사, 해양 플라스틱 저감 MOU 체결

해양 플라스틱으로 고통 받는 고래와 바다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 정부기관과 공기업, 대기업, 사회적기업, 국제기구가 손을 잡는다.

울산항만공사(UPA)는 29일 울산지방해양수산청, SK에너지, UN환경계획 한국협회, 사회적기업 우시산과 해양 플라스틱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의 목적은 협약기관간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을 기반으로 울산항을 중심으로 해양 플라스틱 저감 캠페인 및 업사이클링 활동 공동 추진 등을 통해 국내외 해양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협약기관들은 울산항 입항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사업 및 울산항만공동체가 함께하는 일회용품 저감 운동 ‘울산항 아그위그 챌린지’를 추진하는 등 친환경 항만 구축을 위한 범사회적 환경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협약의 세부내용으로는 △해양 플라스틱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업 강화 △일회용품 저감을 위한 울산항 아그위그 챌린지 공동 추진 △울산항 선박 폐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사업 공동 추진 △해양환경보호 공동 사업 홍보 및 국내외 사례 전파 등이 있다.

UPA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텀블러, 머그컵 등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는 캠페인에 울산항만공동체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한편, 울산항 입항 선박을 대상으로 업사이클링을 위한 폐 플라스틱 분리수거에 대한 환경정책 안내를 진행하게 된다.

SK는 ‘울산항 아그위그 챌린지’ 참여 인증사진 1장마다 베트남에 맹그로브 나무 1그루를 기부하고, 사회적기업 우시산은 울산항 입항 선박에서 수거한 폐 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울산과 울산 바다를 알릴 수 있는 관광상품을 제작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해양 플라스틱 저감은 물론 폐 플라스틱 수거 및 제품 가공을 위한 부가적인 일자리 창출 등으로 바다 생태계 보호와 사회적 경제 활성화 등 사회적가치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상환 UPA사장은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 그리고 국제기구가 연대하여 해양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시작하는 이 자리가 울산항에서 시작된 것을 매우 의미있게 생각한다”며, “플라스틱 저감을 통한 바다 살리기라는 세계적 움직임에 동참하게 돼 매우 뜻 깊고, 국내외 항만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29일 울산항만공사에서 (왼쪽부터) 울산항만공사 고상환 사장, 사회적기업 우시산 변의현 대표, UN환경계획 박희설 이사, SK에너지 백부기 CLX대외협력실장, 울산지방해양수산청 이준형 해양수산환경과장이 ‘해양 플라스틱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후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SK에너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