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그는 업무방해·공무집행방해 혐의로 현장에서 체포됐고, 구속영장이 발부됐다. 찜질방에서 난동을 부리다 경찰관에게 침 좀 뱉었다고 구속까지 될까?
A씨는 지난해 10월에도 서울 관악구의 한 분식집에서 주인과 말다툼을 하던 중 옆에서 지켜보다 말린 사람을 때려 체포된 적이 있다. 같은 해 7월에는 서울 동작구의 모 실버센터에서 사회봉사명령으로 함께 세탁보조 일을 하던 사람을 때려 상해를 입히기도 했다. 또한, 같은 해 6월에는 서울 관악구의 한 모텔에서 퇴실시간이 경과해 퇴실요청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욕설을 하며 퇴거를 하지 않아 퇴거불응 혐의로 체포됐다. 이 밖에도 A씨는 자신이 살던 고시원 1층에 전시된 수석을 집어던져 현관문을 깨뜨리거나 고시원 앞길에서 소란스럽게 한다는 이유로 소주병을 들고 나와 사람들을 향해 휘두르기도 했다.
이런 이유로 A씨는 퇴거불응, 상해, 특수폭행 등 혐의로 재판을 계속 받던 중 찜질방 난동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에게 침을 뱉은 것이다.
그의 비상식적인 행동 뒤에는 정실질환이 있었다. 10년 전부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재발성 우울장애 등 정신질환을 앓았다. 가족들도 감당이 안 돼 따로 산 지 오래라고 한다. 증상이 심할 때는 가족들에게도 살해 협박까지 했다고 한다.
A씨도 “밖에서 더 큰 실수를 저지르기 전에 구속된 게 오히려 잘됐다”고 말했다. 마지막 재판을 앞둔 A씨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해 처벌은 감수하되, 꾸준히 치료를 받은 뒤 사회에 복귀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정신질환 환자의 범죄를 막기 위해선 정부의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대한변호사협회 감사인 홍성훈 변호사(40)는 “정신질환 범죄자한테는 형벌보다는 치료가 필요하다”며 “특히 범죄 초기 상황에서 정부가 체계적으로 대응한다면 범죄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근 정신질환자 범죄가 잇따르자 정부도 부처 간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대검찰청, 보건복지부, 경찰청 등이 실무협의회를 열고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법무부와 검찰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범죄자에 대해 치료명령 및 치료감호를 적극 청구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치료감호 시설을 늘리고, 관련 법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정신질환에 의한 범죄 위험 가능성 조기 발견 체계 수립 △행정입원 등 범죄 고위험 정신질환자에 대한 적극 대응 등을 조치한다. 경찰청은 △경미한 범죄여도 재범 우려가 높을 경우 응급 입원·감정 유치 신청 등 적극 검토 △초동 수사 단계에서 정신질환 여부 및 재범위험성 관련 자료 수집 등의 대응을 할 방침이다.
홍 변호사는 “더 늦기 전에 정부가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해서 다행”이라며 “나아가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정신질환자들 대상으로 한 점검을 비롯해 장기적인 종합계획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