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3일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개발기술 및 생산방식이 다르고 이미 핵심 기술력 자체가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와 있어 경쟁사의 기술이나 영업 비밀이 필요 없다"며 "경쟁사가 주장하는 형태인 빼오기 식으로 인력을 채용한 적이 없고 모두 자발적으로 온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SK이노베이션은 경쟁기업과 설계와 생산 기술 개발 방식의 차이가 커 특정 경쟁사의 영업비밀이 필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SK이노베이션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배터리 핵심소재 가운데 하나인 양극재의 경우, 해외 업체의 NCM622를 구매해 사용하는 경쟁사와 달리 SK이노베이션은 국내 파트너와 양극재 기술을 공동 개발하는 방식을 통해 성장했다는 설명이다.
SK이노베이션 측은 "경쟁사가 국내 업체이고, 국내 업체 간의 분쟁이 국민들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 올 뿐 아니라 우리 기업에 대한 해외시장에서의 평판 저해와 입찰 시 입을 수 있는 불이익을 우려해 정면대응 대신 경쟁사가 자제하기를 기다려 왔다"면서 "경쟁사의 근거 없는 비방이 계속되면서 고객과 시장을 대상으로 명확하게 설명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먼저 개별 구성원을 직접 접촉해 채용하는 이른바 '빼오기 식' 채용이 아니라 공개채용을 통해 자발적으로 지원한 후보자들 중에서 채용해 왔다며 인력 빼가기 주장에 대해 정면 반박했다.
SK이노베이션은 경쟁사가 보도자료를 통해 제시한 문건은 후보자들이 자신의 성과를 입증하기 위해 정리한 자료로 SK이노베이션 내부 기술력을 기준으로 보면 전혀 새로울 것이 없는 것이라며 모두 파기한 것들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형태는 대부분 기업들이 경력직 채용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임수길 SK이노베이션 홍보실장은 "전기차 시장은 이제 성장하기 시작한 만큼,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업계 모두가 선의의 경쟁을 통해 밸류체인 전체가 공동으로 발전해야 할 시점에 이런 식의 경쟁사 깍아 내리기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될 것"이라며 "SK이노베이션은 경쟁사가 멈추지 않고 계속한다면 고객과 시장 보호를 위해 법적 조치등을 포함한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을 다해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5/03/20190503090133966530.jpeg)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