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8일 한·미 정상이 인도적 대북 식량 지원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한 것과 관련해 "구체적인 규모와 형식 등은 확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인도적 대북 식량 지원에) 어떤 품목이 어떤 방법으로 얼마나 지원될지 궁금할 텐데, 이제 논의에 들어가야 하는 단계"라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어제 한·미 정상 통화에서 식량 지원 규모·형식에 대한 제안 등의 구체적인 얘기는 오가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향후) 직접 지원이냐 기구를 통한 지원이냐의 문제를 포함해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결과물이 나오면 해당 부처에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누가 먼저 대북 식량 지원 문제를 거론했느냐'는 질문에는 "무 자르듯 누가 먼저 얘기했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7일) 오후 10시부터 35분간 전화통화를 하고 세계식량기구(WFP)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등이 발표한 북한 식량 실태 보고서 등에 관한 의견을 공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시의적절하며 긍정적인 조치가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이를 지지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신한 트윗 메시지가 북한을 계속 긍정적 방향으로 견인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양 정상은 북한 발사체 발사 직후 한·미 양국 정부가 긴밀한 공조하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한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인도적 대북 식량 지원에) 어떤 품목이 어떤 방법으로 얼마나 지원될지 궁금할 텐데, 이제 논의에 들어가야 하는 단계"라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어제 한·미 정상 통화에서 식량 지원 규모·형식에 대한 제안 등의 구체적인 얘기는 오가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향후) 직접 지원이냐 기구를 통한 지원이냐의 문제를 포함해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결과물이 나오면 해당 부처에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왼쪽)은 7일 오후 35분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북한이 지난 4일 쏘아올린 발사체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이후 한반도 비핵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연합뉴스 ]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7일) 오후 10시부터 35분간 전화통화를 하고 세계식량기구(WFP)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등이 발표한 북한 식량 실태 보고서 등에 관한 의견을 공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시의적절하며 긍정적인 조치가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이를 지지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신한 트윗 메시지가 북한을 계속 긍정적 방향으로 견인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양 정상은 북한 발사체 발사 직후 한·미 양국 정부가 긴밀한 공조하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한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