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9일 사평을 통해 “미국이 대만 문제를 이용해 중국을 견제하고 억제하려는 어두운 의도를 다시 한 번 적나라하게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미국 하원이 '2019 대만보증법안'을 승인한 데 반발한 것이다.
미국 하원은 지난 7일 구두표결을 통해 2019 대만보증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대만보증법안에는 미국 정부가 대만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참여를 지지하고 무기, 군사물자 등을 정상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통신은 “이 같은 미국의 위험한 정치적 행위는 대만해협의 평화를 위협할 뿐 아니라, 미·중 관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대만 문제는 중국의 내정이며, 어떠한 외부 간섭도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미국에 알려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4일(현지시간) 대만 북부인 신베이시 타이베이 항구에서 동시에 열린 진화훈련과 해안 10호 훈련 사열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신화통신은 이와 관련해서도 “중국의 원칙을 훼손하는 것은 미·중 관계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며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엄중하게 지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통신은 “대만문제는 중국의 핵심이익과 중국인의 민족적 감정이 얽혀있어 타협이 안 되는 부분”이라며 “미국이 미·중 관계의 큰 틀을 고려하지 않고 잘못된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강력하게 대응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대만을 사이에 둔 미·중 간 갈등은 올 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새해 기념사에서 “대만과의 통일을 위해서라면 무력사용도 불사하겠다”고 발언하며 양안 긴장이 고조된 뒤 연일 불거지는 양상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올 3월 ‘대만여행법’에 서명해 대만 공무원들도 미국 방문과 여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대만에 군함을 보내고 무기판매를 암묵적으로 승인하기도 했다.
여기에 최근 중국 전투기가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는 등 양안 관계가 일촉즉발 상황으로 치닫자 트럼프 대통령과 대만 차이잉원 총통과의 밀착에도 한층 속도가 나고 있다.
국제문제 전문가들은 "대만 관계법 등은 '하나의 중국'을 주장하는 중국이 폐지를 요구해온 법안이어서 9~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진행될 미·중 무역협상에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