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는 16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성장률 둔화와 장기전망' 보고서를 통해 "한국 경제는 2011~18년 기간에 연평균 3%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일시적인 침체라기보다는 추세적인 하락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KDI는 2020년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지속적인 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전제할 경우, 연평균 2%대 초중반 수준을 유지해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산측면에서 노동, 자본 등 투입요소를 비롯해 총요소생산성이 기여한 부분으로 분해하는 등 성장회계방식을 이번에 적용해 전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사진=한국개발연구원(KDI) 제공]
이날 권규호 KDI 거시경제연구부 부연구위원은 "경제가 발전해 나가면서 생산성 증가세가 둔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나, 끊임없는 혁신으로 생산성 증가세가 확대될 경우 2%대 초중반의 경제성장률은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본다"고 강조했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 KDI는 2010년대처럼 둔화된 생산성 추세가 이어질 경우, 2020년대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1.7% 정도로 떨어질 수 있다는 비관적인 가정도 배제하지 않았다.
권규호 부연구위원은 "생산성 향상을 독려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과 경제성장률 둔화의 원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경기 순환적인 요소보다는 산업여건, 고용환경, 인구변화 등 구조적인 요소에 대한 정책 개선이 보다 요구된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더구나 그는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은 단기적인 경기 부양 측면에서 효과를 낼 뿐더러 장기적으로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있는 유인효과를 낼 수 있다"며 "재정 정책이 계속 반복될 경우, 구조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어서 좀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