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원유 선물시장에 투기성 자금이 대거 유입되면서 국제유가의 변동 패턴이 매우 불안정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국제종합팀은 19일 한은 해외경제 포커스에 올린 ‘글로벌 원유 선물시장의 현황 및 유가와의 관계’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조하에 투자수익 증대를 위한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투기성 자금이 원유 선물시장에 대거 유입했다”고 밝혔다.
유가 선물시장은 기름값 변동에 민감한 기업들이 1970년대 석유 파동을 겪은 뒤 가격 급등락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도입됐다. 거래량이 가장 많은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은 1983년 처음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상장됐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투기성 자금 유입이 대폭 확대됐다. 연구팀은 저금리에 갈 곳을 못 찾은 유동자금이 상품선물시장에 대거 몰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WTI 선물시장에서 헤지펀드나 기관투자자 등 비상업 거래자의 순매수 계약은 금융위기 전인 2007년 말 5만3000 계약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1월에는 79만4000 계약으로 폭증했다.
연구팀은 “투기성 자금의 잦은 유출입이 유가 변동 폭을 키웠다”고 말했다. 현물 유가가 하락하면 투기성 자본이 증거금 부족이나 손절매 등 여러 이유로 선물 계약을 매도하고, 이것이 다시 현물 유가의 추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연쇄 효과를 유발했다는 것이다.
또 연구팀은 원유 선물가격 변동이 투기수요에 좌우되면서 선물가격이 중장기 원유 수급 여건 예상과는 괴리되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우리 경제는 세계 5위의 원유 수입국으로 유가 변동이 성장, 물가 등 거시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원유 선물시장에 대한 모니터링과 분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근 세계 경제성장률 둔화, 미중 무역갈등 격화, 산유국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 수급 불안요인이 잠재하고 있으므로 글로벌 자금 흐름 상황을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국은행 조사국 국제종합팀은 19일 한은 해외경제 포커스에 올린 ‘글로벌 원유 선물시장의 현황 및 유가와의 관계’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조하에 투자수익 증대를 위한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투기성 자금이 원유 선물시장에 대거 유입했다”고 밝혔다.
유가 선물시장은 기름값 변동에 민감한 기업들이 1970년대 석유 파동을 겪은 뒤 가격 급등락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도입됐다. 거래량이 가장 많은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은 1983년 처음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상장됐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투기성 자금 유입이 대폭 확대됐다. 연구팀은 저금리에 갈 곳을 못 찾은 유동자금이 상품선물시장에 대거 몰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투기성 자금의 잦은 유출입이 유가 변동 폭을 키웠다”고 말했다. 현물 유가가 하락하면 투기성 자본이 증거금 부족이나 손절매 등 여러 이유로 선물 계약을 매도하고, 이것이 다시 현물 유가의 추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연쇄 효과를 유발했다는 것이다.
또 연구팀은 원유 선물가격 변동이 투기수요에 좌우되면서 선물가격이 중장기 원유 수급 여건 예상과는 괴리되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우리 경제는 세계 5위의 원유 수입국으로 유가 변동이 성장, 물가 등 거시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원유 선물시장에 대한 모니터링과 분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근 세계 경제성장률 둔화, 미중 무역갈등 격화, 산유국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 수급 불안요인이 잠재하고 있으므로 글로벌 자금 흐름 상황을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사진=한국은행]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